인스펙터(Inspector)
인스펙터 창은 클립들을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벤트 브라우저나 타임라인에 있는 클립의 더 많은 정보, 즉 메타데이터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클립의 미디어 형태에 따라 인스펙터 창은 다른 정보들을 보여준다. 어떤 파일이 선택되었느냐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인스펙터 창은 세 가지로 나누어진 탭을 가진다.
- Video: 비디오와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다. 비디오에 적용된 모든 효과들은 이곳에 나타나는데 색상 보정, 화면 자르기 등의 영상효과 편집도 가능하다.
- Audio: 오디오와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다. 오디오에 적용된 모든 효과들이 이곳에 나타나고 볼륨 조절과 오디오 필터 편집도 가능하다.
- Info: 파일의 주요 정보를 볼 수 있고 클립에 대한 기능(Role)을 지정할 수도 있다.
1. 인스펙터(Inspector) 창의 두 번째 탭인 Audio 탭을 클릭해서 클립의 오디오 정보를 보자.(클립이 선택된 상태여야지 확인할 수 있다: 노란색 테두리)
2. 선택한 클립의 볼륨을 무음이 되게 하기 위해 볼륨 바를 왼쪽 끝으로 옮겨보자.
3. 타임라인에 있는 클립의 볼륨 조절선이 맨 밑으로 내려간 것이 보인다. 옆의 클립들과 비교해서 보면 알기 쉽다.
4. 타임라인에 있는 클립의 오디오 볼륨 조절선이 잘 안 보이면 화면 인스펙터 창 밑에 있는 클립 크기 조절 버튼을 클릭해 보자.
5. 클립이 보이는 모습을 선택할 수 있는 Clip Appearance 창이 열린다. 팝업 창의 맨 위에 클립의 모습들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들 중 네 번째 아이콘을 선택하자. Clip Height를 조절해 클립의 높이도 조금 크게 만들어보자.
△참조사항: 타임라인 클립 아이콘 크기 조절 옵션
타임라인 창의 오른쪽 아래에 있는 아이콘 크기 조절 버튼을 클릭하면 클립의 아이콘 모습을 설정하는 Clip Appearance 창이 뜬다. 이 창은 타임라인에 있는 클립들을 어떤 크기로 보여줄 것인지에 관한 세 가지 옵션을 제공한다.
- 아이콘 기본 형태: 오디오와 비디오 구간이 각각 다른 6개의 아이콘 보기 옵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비디오 구간의 미리 보기 크기가 선택한 아이콘에 따라 달라진다.
- Clip Height(클립 높이): 조절 바로 클립의 높이(크기)를 설정한다.
- Timeline Zoom Level: 타임라인 창 클립의 구간을 줌 인 또는 줌 아웃으로 조절한다.
- Clip names: 이 항목을 체크함으로써 클립들에게 클립 이름을 보이게 할 수 있다.
편집 버튼
편집 버튼을 살펴보자. 지금까지는 덧붙이기(Append)만을 사용해서 간단한 편집을 해보았다. 다음 따라 하기에서는 편집 시 많이 사용하는 다른 주요 편집 버튼을 이용해서 진행해 보겠다.
네 가지 주요 편집 버튼과 샷컷
- 기본 트랙(프라이머리 스토리라인) 위나 아래로 클립을 붙여주는 기능(Connect: Q)
- 클립 사이나 클립 중간 사이로 새로운 클립을 집어넣어 주는 기능(Insert: W)
- 타임라인 끝으로 클립을 붙여주는 기능(Append: E)
- 덮어쓰기(Overwrite: D)
연결하기(Connect: Q) - 인서트(Insert: W) - 덧붙이기(Append: E) - 덮어쓰기(Overwrite: D)
이 버튼들의 자세한 자세한 사용 방법은 다른 글에서 다시 다루겠다.
1. 타임라인에 있는 클립 A 위 중간 정도 지점에 플레이 헤드를 위치시키자.
2. 이벤트 브라우저에서 클립 C을 클릭해서 선택하자.
3. 툴 바에 있는 연결하기(Connect: Q) 버튼을 클릭하자.
4. C클립이 A클립 위로 연결된다. 파이널 컷 프로 X에서는 트랙을 하나만 사용하기 때문에 이 기본 트랙에 위치하지 않은 클립들은 기본 트랙(프라이머리 스토리라인) 위나 아래로 연결(세컨더리 스토리라인)된다.
5. 마우스로 C클립 중간 지점을 클릭해서 플레이 헤드를 중간 지점 정도에 위치시키자.
6. 이벤트 브라우저에서 E클립을 선택해서 선택하자.
7. 툴 바에 있는 인서트(Insert: W) 버튼을 클릭하자.
8. E클립이 C클립 중간 지점에 삽입되었다.
9. 마우스로 C클립과 D클립 사이를 클릭해서 플레이헤드를 두 클립사이에 위치시키자. 키보드의 방향키 위/아래 화살표를 이용해서 클립 사이로 플레이헤드를 옮길 수도 있다.
10. 이벤트 브라우저에서 A클립을 클릭해서 선택하자.
11. 키보드에서 덮어쓰기 단축키인 D를 누르자(Overlay). 브라우저의 A클립이 타임라인의 E클립으로 덮어쓰기 되었다. 덮어쓴 구간은 브라우저에서 선택한 그 길이만큼이다.
△ 참조사항: 편집 시 스키머와 플레이 헤드의 우선순위
편집 시에 빨간색 선으로 표시되는 스키머는 회색 선의 플레이헤드보다 우선해서 편집 포인트로 사용된다. 예를 든다면 스키머가 플레이 헤드 보다 약간 앞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 겹쳐 쓰기를 하면 빨간색 선으로 표시되는 스키머를 기준으로 하여 편집이 진행된다. 플레이 헤드가 위치한 클립부터 그다음 클립까지 덮어쓰기 된다. 스키머가 클립과 클립 사이에 위치하면 빨간색으로 노란색으로 바뀐다.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포트 설정 창-1 (0) | 2023.08.24 |
---|---|
임포팅(Importing) (0) | 2023.08.23 |
타임라인 인덱스(Timeline Index) (0) | 2023.08.21 |
간단한 편집 과정 (0) | 2023.08.20 |
프로젝트(Project) (0) | 2023.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