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영상 제작 이론

파이널 컷 프로 X: 리타이밍(재생 속도 조절)

by 영상이론 2023. 11. 5.
반응형

클립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페이스를 조절해서 많은 정보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스토리에 적용하는 유용한 방법이다. 클립의 속도를 조절해 줌으로써 짧은 장면전환을 연상시켜 트랜지션처럼 사용할 수도 있고 클립을 천천히 재생하거나 정지 화면 또는 역방향으로 돌아가게 할 수도 있다. 파이널 컷 프로 X에서는 클립의 속도 조절을 하나의 이펙트 모음으로 만들어서 그동안 우리가 많이 보아온 클립 재생 효과를 한 곳에 모은 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번 섹션에서는 클립의 재생속도 창인 리타임 에디터(Retime Editor)를 이용해 클립 상에서 직접적으로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클립의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리타임 에디터의 기능

팝업 메뉴에서 slow, fast, normal은 선택된 클립 또는 구간에 프리셋 스피드를 적용할 수 있으며, Hold는 정지된 프레임을 만들 수 있다. Blade Speed는 하나의 클립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의 스피드를 조절하는 것이며, Custom은 원하는 정밀한 클립 재생 스피드 조절로 커스텀 설정을 할 수 있는 기능이다. Reverse Clip은 반대로 역재생을 할 수 있는 기능이다. Reset Speed는 적용된 재생 스피드 변화를 초기화시킨다. Speed Ramp는 다양한 속도 변화로 속도가 클립의 길이 내에서 변하는 점을 제외하면, 영구적으로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과 비슷하다. 클립을 선택한 후 리타이밍 팝업 창에서 Speed Ramp > from 0%를 하여 스피드 램프를 적용해 보면 선택된 클립을 4단계의 속도로 자동 분리된다. 또한 각 파트의 속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하고 변경할 수 있다. Instant Replay는 재생하고 싶은 부분을 선택한 후 Instant Replay 옵션을 리타임 팝업 메뉴에서 선택하면 선택된 구간의 끝부분에서부터 똑같은 구간이 하나 더 생겨서 선택한 플레이 스피드로 한 번 더 재생한다. Rewind는 1배, 2배, 4배의 속도로 클립이 플레이되는 방향을 역으로 뒤집는 기능이다. 플레이 방향을 뒤집는 Reverse 기능은 클립의 길이를 변경시키지는 않는다. 클립을 선택한 후 뷰어창 타임코드 왼편에 있는 시계 아이콘인 리타이밍을 눌러 팝업 메뉴 창에서 Reverse Clip을 선택하고 클립을 플레이해 보면 해당 클립이 뒤에서부터 앞으로, 역으로 재생된다. 역재생된 클립의 스피드 바를 보면 -100%라고 표시가 된다. 이 -표시는 클립이 거꾸로 재생되므로 생긴 표시이다. Jnmp Cut at Markers는 점프 셋에 마커를 넣는 기능이다. Video Quality는 슬로우 모션 비디오 렌더링의 옵션이며, Preserve Pitch는 리타이밍 시 오디오의 원래 톤을 유지하는 기능이다. 마지막으로 Hide Retime Editor [단축키: command + R]는 리타임 에디터를 보이게 하거나 숨길 수 있는 기능이다. 리타임 에디터는 보이게 했을 때 클립 위에 나타나며, 스피드 표시 컬러로 클립의 스피드 변화에 따라 다른 색으로 나타난다. 이때 빨간색은 멈춰 있는 프레임이고, 주황색은 슬로우 모션, 녹색은 정상 속도와 역으로 재생될 때 왼쪽 역방향으로 표시되며, 파란색은 빠른 모션이라는 뜻이다. 리타임 에디터의 바가 나타나 있을 때 오른쪽의 두 줄 아이콘인 핸들을 드래그하면 재생 속도를 빠르게 변경할 수 있다.

 

클립 속도 바꾸기

타임라인에서 클립의 속도를 바꾸는 효과는 클립의 길이와 프로젝트 전체에 변화를 줄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하나의 클립 또는 여러 개의 클립 또는 특정 구간의 속도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타임라인에서 클립을 선택한 후 메인 메뉴에서 Modify > Retime를 선택하거나, 타임 코드 왼쪽에 있는 리타임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리타임 아이콘을 선택한 후[단축키: command + R] 팝업 메뉴에서 클립의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리타임 에디터에서는 클립 전체가 아닌 클립 한 구간의 속도를 선택해서 조절할 수 있다. 툴 선택 팝업 메뉴에서 구간 선택 툴을 선택하고 [단축키:R] 지정해 보자. 클립의 한 구간이 선택된 후 이 구간의 속도에 변화를 주고 싶으면 리타임 팝업 메뉴에서 Fast > 2x를 선택해 클립의 속도를 정상 속도보다 2배 빠르게 바꿀 수 있다. 속도가 2배로 빨라지며, 해당 구간 위에 남색 바가 뜬다.

 

프레임이 다른 클립 속도 변화 주기

Automatic Speed는 원래 비디오 클립의 프레임 레이트를 타임라인의 프레임 레이트로 바꿔준다. 예전에 프레임 레이트를 바꾸는 툴로 Cinema Tool의 대체 기능이다. 예를 들어 60 fps로 찍은 비디오 클립을 30 fps의 타임라인에 가져왔을 경우, 이 기능을 적용하면 숨겨져 있던 모든 프레임이 원래의 프레임레이트로 복구되면서 슬로모션을 적용할 때 부드럽게 플레이 백이 된다. 이렇게 바꾼 클립을 렌더링 할 때는 Oprical Flow로 한다. 50 fps로 촬영한 클립을 30 fps 타임라인에 가져오면 파이널 컷 프로는 자동으로 50 fps를 30 fps로 바꿔준다. 그래서 50 fps 클립이 100의 스피드로 표시되면서 약 40퍼센트 정도 프레임이 사라진다. 이 클립에 Automatic Speed를 적용하면 원래의 프레임 숫자로 복구되기 때문에 촬영된 모든 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정지 화면 클립 만들기

프레임을 멈추는 Hold Frame은 플레이헤드가 위치해 있는 클립의 한 프레임을 2초짜리 정지 구간으로 만들어 주는 기능이다. 즉 이 기능을 사용하면 비디오가 플레이되는 도중 2초간의 정지 장면이 나오고 다시 플레이된다. 이 유닛 뒤에 나오는 Freeze Frame 기능은 4초짜리 새로운 분리된 클립을 만들어 주는 것이고, Hold Frame은 그 클립 안에서 플레이헤드가 위치해 있는 부분부터 2초짜리 정지 구간을 만든다. (타임라인에서 클립을 선택한 후 플레이헤드가 위치해 있는 프레임을 꼭 확인하자.) 리타임 에디터를 연 후 팝업 메뉴에서 Hold를 선택한다. [단축키: Shift + H] 클립 리타임 에디터에서 빨간색의 스피드 바는 Hold 된 구간의 스피드가 0%, 즉 장면이 멈춰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클립의 리타임 에디터 스피드 바들을 보면 원래의 설정인 2초 동안 잠시 멈추고(Hold) 클립의 나머지 부분이 다시 원래의 스피드로 재생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본이 2초이지만, 클립의 Hold 주황색 바 오른쪽 끝을 드래그하여 정지 구간을 늘어나게 하거나, 줄일 수 있다. 또한 바의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화살표 아이콘을 클릭하면 방향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커스텀 창이 뜬다. 프레임을 멈추는 Hold Frame과 다르게 정지 화면 클립을 만들 수 있는 Freeze Frame 기능이 있다. 이 기능은 한 한 프레임을 정지화면으로 만들 수 있으며, 모션그래픽과 다큐멘터리에서 많이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보통은 사용되는 비디오 클립이 마지막 프레임을 정지 화면으로 만들어서 다른 영상 효과와 함께 많이 사용된다. [단축키: Option + F] 타임라인의 빈 곳에 플레이헤드를 둔 상태에서 단축키를 누르면 검은색의 정지화면이 생기고 클립 위에 플레이헤드를 둔 상태라면 4초 정도 되는 정치화면 클립이 삽입된다. 이 클립은 다른 클립과 마찬가지로 필요한 만큼 다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설정 창에서 기본 4초로 지정한 길이를 다시 설정해 둘 수도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할 때 타임라인에 있는 클립을 정지화면으로 만들면 추가된 클립이 삽입되면서 타임라인에 있는 기존의 클립이 잘리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려면 브라우저에 있는 클립을 연결된 클립으로 타임라인에 추가하면 된다. (타임라인의 클립 선택이 아니라 브라우저에서 클립을 선택하면 연결된 클립으로 추가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