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지션 툴
마그네틱 타임라인의 특성상 선택 툴을 사용해서 클립을 옮길 경우 빈자리가 생기지 않고 클립이 원 위치에 있는 클립과 교체가 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포지션 툴을 사용하면 클립을 원하는 위치에 강제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클립이 옮겨간 빈자리는 갭 클립으로 교체된다. 이 포지션 툴은 편집이 어느 정도 진행된 이후, 타임라인에 있는 여러 클립들의 그룹을 한꺼번에 강제적으로 이동시켜야 하거나, 전체 시퀀스에서 타임라인에 변화를 주지 않고 단 하나의 클립을 이동시키고 싶을 때 사용된다. 포지션 툴을 사용해서 여러 클립을 이동시키려면 먼저 타임라인 왼쪽 상단에 도구 박스 툴 선택 창에서 포지션을 선택한다. [단축키: P] 타임라인에 있는 클립들 중 부분적으로 여러 개의 클립을 선택해 보자. 선택된 클립들 위 아무 곳이나 클릭해 드래그함으로써 선택된 클립들을 모두 한꺼번에 이동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선택한 클립들을 이동시킬 때 클립이 옮겨지는 거리를 표시하는 정보 창이 뜨니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포지션 툴을 사용하여 한 클립을 선택하여 위쪽으로 드래그하면 프라이머리 스토리라인에서 연결된 클립으로 바꿀 수 있다. 선택 툴을 사용해서 클립을 위로 드래그하면 빈 공간인 갭 클립이 안 생기므로 타임라인의 시퀀스 구조가 바뀌게 된다.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클립을 위로 드래그해요 클립이 움직이지 않고 원래 위치에서 수직으로 올라간다. 그냥 클립을 드래그할 시에는 클립이 좌우로 움직일 수가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레인지 셀렉션 툴
레인지 셀렉션 툴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시작점과 끝점을 드래그를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드래그를 하여 선택된 부분에 다른 툴로 바꾸어 활용할 수 있는데 레인지 셀렉션 툴로 드래그하여 범위를 지정한 후 트림 툴로 바꾸면 선택된 범위만큼의 영상 클립을 트림할 수 있다. 또 다른 활용법으로는 레인지 셀렉션 툴로 범위를 지정해 준 후 이펙트 창에서 이펙트를 가져와 적용시키면 지정한 범위만 이펙트를 적용시켜 비디오 애니메이션 창에서 수정할 수 있다. 똑같은 방법으로 오디오 클립에 범위를 선택한 뒤 그 구간만 소리를 안 나오게 할 수도 있고 혹은 소리를 나오게 하거나 지정한 범위만 클립의 속도도 바꿀 수가 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활용법으로는 특정 구간만 출력하는 기능인데 범위를 설정한 후에 메인 메뉴 > Share > Export File을 누르면 지정한 범위만 출력이 가능하다. 자유자재로 지정한 범위에만 변경을 하고 싶거나, 특정 구간의 영상만 출력하고 싶을 때 자주 사용하는 매우 유용한 기능이다.
블레이드 툴
편집 과정에서 타임라인에 있는 클립을 복사해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클립을 같은 스토리라인에 복사할 수도 있고, 프라이머리 스토리라인에 연결된 클립으로 복사할 수도 있다. 툴 바에서 선택 툴로 바꿔준 후 타임라인에 복사한 클립을 누른다. 메인메뉴에서 Edit > Copy 또는 단축키 command + C를 누르면 클립이 복사된다. 복사된 클립을 위치시키고 싶은 곳에 스키머를 가져간 후 메인 메뉴에서 Edit > Paste 또는 단축키 command + V를 하면 복사된 클립이 스키머가 있는 곳에 붙여 넣기 된다. 이 단축키는 원래의 클립의 위치에 따라 복사되는 클립의 위치가 결정된다. 연결된 클립으로 복사를 하고 싶다면 스키머를 갭 클립이 존재하는 곳으로 가져간 후 클립을 복사한 상태에서 Option + V를 누르면 클립이 스키머가 위치한 갭 클립의 위쪽에 연결되어 붙여 넣기 된다. 단순하게 클립 하나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클립이 모여 있는 한 구간을 삭제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 여러 클립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구간을 블레이드 툴로 잘라서 없애고 싶은 구간에 있는 모든 클립들을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먼저 툴 바에서 블레이드 툴로 변경해 준다. 타임라인에 있는 없애고 싶은 구간에 있는 클립에 스키머를 두고 Shift를 누르면 블레이드가 양날의 모두 자르기 모드로 바뀐다. 스키머가 있던 곳을 중심으로 스키머 선상에 있는 프라이머리 스토리라인의 클립과 부가적인 스토리라인에 있는 클립들이 모두 잘린다. 단축키인 Shift + command + B를 눌러도 된다. 이어서 없애고 싶은 구간에 한쪽으로 다시 스키머를 이동시키고 또 한 번 Shift + command + B를 누른 다음 선택 툴로 바꾸어 잘린 클립 구간들 중 지우고 싶은 클립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선택하고 Delete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클립들만 삭제된다. 프라이머리 스토리라인에 있는 클립들과 연결된 클립들을 동시에 지울 때는 블레이드 툴을 이용해 클립들을 자른 다음에 지우는 것이 효과적이다. 프라이머리 스토리라인에 있는 클립만을 지우고 싶을 때가 있다. 이때 그냥 지우면 연결된 쌓여있는 클립도 함께 없어지기 때문에 연결점을 바꾸어 주어야 한다. 연결점을 바꾸는 것은 Option + command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로 연결된 클립을 클릭하면 연결점이 바뀐다.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널 컷 프로 X: 오디오 볼륨 조절하기 (0) | 2023.09.20 |
---|---|
파이널 컷 프로 X: 오디오 기본 이해하기 (0) | 2023.09.19 |
파이널 컷 프로 X: 오디션 (0) | 2023.09.17 |
파이널 컷 프로 X: 스토리라인 (0) | 2023.09.16 |
파이널 컷 프로 X: 컴파운드 클립 (0) | 202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