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영상 제작 이론

방송 제작 인력

by 영상이론 2023. 7. 11.
반응형

촬영하는 제작진 사진

방송 제작 인력

방송 제작 인력으로 대부분의 방송사는 편성, 보도, 제작, 기술 등의 부서를 두고 있으며, 방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크게 제작진과 출연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작진을 일반적으로 스태프(staff)라고 부르고 있다. 현재 방송국에서 송출 중인 수많은 프로그램들은 기획 단계에서 미리 구성된 출연진(cast, talent)과 제작진(staff)에 의해 제작이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프로그램은 이 모든 사람들이 며칠에서 몇 개월 혹은 몇 년간에 걸쳐 노력한 결과에 의해서 제작된 것들로, 제작 스탭은 흔히 PD라 불리는 프로듀서(producer)와 연출자, 작가, 조연출을 비롯해 수많은 보조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자의 정해진 역할이 분명히 있지만 방송 현장의 여건에 맞추어 여러 가지 일을 하기도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는 제작자와 연출자가 엄격히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기술 스탭(crew)은 기술 감독, 음향 담당자, 조명 감독, 세트 및 소품 디자이너, 카메라 맨, 비디오 엔지니어, 무대 감독 등이 있으며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서는 분장, 메이크업, 의상 등 매우 많은 사람들이 공동으로 작업을 수행한다. 방송 프로그램 제작에 있어서 프로듀서가 프로그램의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기획에서부터 최종 프로그램의 완성에 이르기까지 제작의 전 과정을 책임진다. 그러나 방송 프로그램은 혼자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수많은 출연자들이 함께 공동 작업을 하는 종합적인 예술이다.

 

제작 스탭

제작 스탭은 제작자, 연출자, 조연출, 무대 감독, 작가 등 수 많은 스탭이 있다. 제작자(producer)는 프로그램 제작에 관한 전반적인 업무를 책임지고,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또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기획에서부터 프로그램 제작에 필요한 제반 업무를 총괄한다. 프로그램의 연출을 담당하는 연출자(producer & director, PD)는 출연자에게 연기를 지시하고, 기술진의 작업을 조정한다. 우리나라에서 PD는 제작자(program director) 겸 연출자의 개념으로 통용되고 있다. 연출자는 제작자와 긴밀한 협조 아래 제작 회의를 겹쳐 결정된 대본과 각종 제작 장비와 제작비를 가지고, 제작 일정에 따라 프로그램을 연출한다. 연출자는 작가의 대본을 기초로 촬영 대본 즉, 콘티(continuity)를 만들고, 거기에 맞춰 연출을 하는 실무 감독이라면 제작자는 프로그램의 제반 업무를 총괄하는 행정 감독이라 할 수 있다. 조연출(assistant director, AD)은 연출자가 하는 전반적인 업무를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출연자나 미술, 분장 등의 제반 준비를 하고, 프로그램 제작 시간도 확인하여 연출자가 업무를 수행하는데 차질이 없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무대 위에서 연출을 감독하는 무대 감독(floor director, FD)은 연출자의 대리인으로 녹화 당일 출연자들의 출석, 의상과 분장 등의 모든 준비 상황을 하나하나 점검하고, 준비를 한 후 연출자의 지시에 따라 큐와 컷을 준다. 그리고 이 밖에 스튜디오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점들을 임기응변으로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보통 조연출자가 담당한다. 작은 규모의 무대 진행을 전담하거나 간단한 촬영과 제작 전반 업무에서 PD와 AD를 보조하는 역할은 보통 FD가 담당한다. 작가(writer, scripter)는 프로그램 제작에 필요한 방송용 대본을 작성한다. 즉, 대사와 내레이션을 작성하는 사람이다. 드라마의 경우 한번 결정된 대본에 대하여 프로듀스와 연출자가 해석하고, 제작하는데 더 이상 관여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나, 다큐멘터리의 경우는 직접 제작에 참여하여 상황에 맞게 내용을 조절하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듀서와 상의하여 프로그램의 방향을 결정하기도 하고 촬영과 편집이 끝나면 해설 대본을 작성한다.

 

기술 스탭

기술 스탭은 기술 감독, 음향 담당자, 미술 감독, 영상 담당자, 조명 감독, 카메라 감독 등이 있다. 기술 감독(technical director, TD)은 수석 기술 요원으로 카메라, 영상, 음향 등의 프로그램 제작에 필요한 기기의 조작을 비롯한 모든 기술적 업무를 감독하고 지휘한다. 기술 감독은 기술 분야의 총책임자이기 때문에 모든 기술 스태프들의 업무를 완전히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대본상의 기술적 제약이나 더 나은 효과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프로그램에 반영하기 위하여 PD와 유기적으로 협력을 해야 한다. 음향 담당자는(audio engineer)는 소리에 관한 모든 것을 책임지는 사람으로 사전에 프로듀서와 협의하여 오디오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고 오디오에 관한 모든 기자재를 준비하고 관리하며, 마이크 맨(mic man)을 지휘한다. 마이크를 통한 스튜디오 내 음향의 픽업과 대사, 효과, 음악 등 모든 음향의 믹싱을 담당한다. 음향 담당자는 연출자 및 기술 감독과 협의하여, 단순히 음의 혼합만이 아니고 음색의 형성, 음의 원근감 등의 모든 수음 기술을 이용하여 최적의 음을 만들어 내고, 음향 보조 직원들을 지휘한다. 미술 감독(art designer)은 무대 장치를 포함한 미술 분야 전반을 관리한다. 연출자 및 조명 감독과 협의하여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디자인을 하고, 세트를 설치할 때 총괄을 한다. 또한 세트 이외에도 소품, 분장, 의상 등 시각적 효과 전반에 걸쳐 창의성을 발휘해 제작하고, 감독해 나가는 일을 한다. 영상 담당자는(video control engineer, VCE 또는 videoman)는 TV 프로그램의 모든 비디오 성분을 조정하는 책임을 가진 사람이며, 기술 감독의 요구 사항, 그리고 모든 비디오 소스 사이에서 중재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 프로그램 제작에 사용되는 부조정실 내의 카메라를 포함한 모든 영상 기기에 대한 운용과 보수 관리를 담당한다. 이러한 책임을 완수하기 위해, 영상 담당자는 TV 프로그램 제작에 사용되는 비디오 신호의 발생 및 사용 전반에 대하여 익숙하여야 한다. 조명 감독(light director)은 연출자, 프로듀서, 세트 디자이너 등과 협의해 전체적인 조명 계획을 수립하고, 조명 기구를 준비하며 실행하는 담당자로서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 조명의 역할은 전체적인 분위기를 조정하고 일정한 비율의 밝기를 유지해 화면에서 장면과 장면 사이를 시각적으로 구분해 주는 것은 물론이고 주 피사체를 강조하고 보조적 역할을 하는 피사체를 구분시켜 주는 등 시각적으로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카메라 감독(촬영 감독)은 방송 프로그램 제작을 위해 카메라 촬영 업무를 총괄하고, 촬영기사(카메라맨)의 활동을 조정·감독한다.

 

기타 인력

이외에도 방송용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 필요한 인력은 대단히 많다. 스튜디오나 야외에서 제작된 미완성 프로그램을 영상 자료나 음향 효과를 보완하면서, 내용을 삭제, 삽입 그리고 자막 등을 처리하여 완성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스위쳐, 방송 기기의 점검과 수리를 담당하는 보수 요원 그리고 각 중계소나 송신소에서 중계 또는 송출의 업무를 하는 송출 요원 등이 있다.

반응형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메라의 기본 이해하기  (0) 2023.07.12
방송 제작 과정  (0) 2023.07.12
방송 시설 장비  (0) 2023.07.12
방송 프로그램의 편성  (0) 2023.07.11
방송의 기본 이해하기  (0) 2023.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