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영상 제작 이론

편집의 기초

by 영상이론 2023. 7. 27.
반응형

편집의 기초

편집의 기초는 우리가 대본에 따라서 촬영해야 할 대상이나 장면, 시간 또는 원하는 구도나 필요한 양만큼을 완벽하게 촬영하였다면 굳이 편집이란 과정을 거쳐야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완벽하게 촬영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편집은 촬영을 통하여 발생된 나쁜 장면들을 걸러내고, 부자연스러운 장면을 보다 자연스럽게, 시청자가 보기 편하게 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방송 영상 작품들은 이러한 편집 과정을 거쳐서 하나의 완성된 작품으로 재창조되고 있다.

 

 

 

편집의 개념

편집의 개념, 촬영된 영상에서 하나의 샷 자체는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 촬영된 컷들을 서로 연결하고, 다른 장면과 서로 결합시켜야 비로소 완전한 하나의 영상물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여기에서 편집의 필요성이 생기는 것이다. 편집(editing)이란 촬영된 영상의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거나 어떠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기획된 의도에 따라 이미 촬영한 다양한 샷을 의미 있게 연결하고, 내용을 압축하며, 그래픽과 디지털 효과, 오디오 효과 등 필요한 영상 효과를 통하여 최종 영상물을 얻기 위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편집은 제작에 앞서 세밀한 계획을 세우고 완벽한 촬영, 그리고 혹시 의심스러울 때는 그 즉시 현장에서 다시 한번 촬영하여야 가장 효율적인 편집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편집 시 시간과 경비를 줄일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편집의 가장 큰 목적의 하나는 잘못 촬영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 불필요한 내용이나 의미 전달에 지장이 없는 부분을 제거하여, 정보 전달을 위해 압축하고, 영상과 음성 소재를 적당하게 조합하여 적극적이고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작업이다. 특히 영상 변화에 적합한 음향을 첨가하거나 설명 혹은 다양한 음향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편집 준비

편집 준비 되어야 할 자료는 촬영 대본을 바탕으로 촬영한 비디오테이프, 그래픽 및 자막을 위한 장비, 배경 음악과 주제가, 음향 효과 등으로 사용할 오디오 CD 및 음향 장비, 편집 시 스캐너로 입력해야 할 자료 및 크레딧, 타이틀 그리고 내레이션을 위한 준비, 기타 필요한 자료 화면이나 장비 등이다.

 

이상의 준비가 끝나면 이미 촬영한 샷 목록을 근거로 하여 편집 목록을 만들거나 촬영된 모든 테이프를 확인해 가며 편집 목록을 작성한다. 편집 목록에는 카메라 번호, 카세트 번호, 샷 번호, 샷의 내용에 관하여 기록하고 오디오와 내레이션 등 필요한 모든 요소를 기록한다.

 

1. 크레딧(credit): 이미 촬영되어 준비되어 있는 테이프

2. 내레이션(naration): 촬영 시 동시 녹음한 음성이 아니고 편집이 끝난 그림에 설명을 위하여 아나운서나 리포터가 읽어주는 대사

 

 

 

편집의 기능

편집의 기능은 최종 영상 제작물을 완성하기 위한 마지막 단계로서 모아진 편집 소재를 가지고 최대한 기획 의도에 맞게 영상을 연결시키는 과정이다. 편집의 기능은 결합, 압축, 수정, 구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편집은 영상 제작물에 따라 다양한 기능 중에서 특정한 기능이 강조되기도 한다.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메시지를 보다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편집의 각 기능들을 충분히 이해하고 응용하여야 한다.

편집 기능들은 서로 중복되기도 하지만 샷의 선택, 샷의 길이와 순서, 그리고 샷들이 결합될 때의 장면 전환 기법 등의 편집 접근 방식과 스타일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편집의 기본 단위

편집의 기본 단위에 대하여 알아보자.

 

(1) 컷

컷(cut)은 필름의 절단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장면을 말한다. 편집이란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어 다른 필름에 연결시키는 작업이라 했는데, 여기에서 편집 중에 필요 없는 부분을 적당한 길이로 잘라낸 필름을 한 컷이라 한다. 컷을 때로는 샷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굳이 차이를 말하자면 샷은 촬영 쪽의 느낌이 강하고, 컷은 편집 쪽의 느낌이 강한 말이라고 할 수 있다.

 

(2) 씬

씬(scene)은 우리말의 장면에 해당하는 포괄적인 의미로서 같은 장소, 같은 시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행동이나 대사를 말한다. 대개는 몇 개의 쇼트가 모여 하나의 신(Scene)을 이루지만 때로는 하나의 쇼트가 하나의 신(Scene)을 이룰 때도 있다. 일반적으로 쇼트와 시퀀스의 중간 길이에 해당하며, 관객들이 이야기하는 "아, 그 장면"이라고 할 때 바로 그 장면이 신(Scene)을 지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3) 시퀀스

시퀀스(sequence)는 장소, 동작, 시간이 연속성을 통해 하나의 이야기를 이루는 독립적인 구성단위를 말한다. 일련의 씬이 모여서 하나의 시퀀스가 된다.

반응형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트 프로덕션 편집  (0) 2023.07.29
편집의 방식  (0) 2023.07.28
오디오 장비  (0) 2023.07.26
오디오 조정(audio control)  (0) 2023.07.25
마이크의 배치와 오디오의 저장  (0) 2023.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