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오디오의 기초

by 영상이론 2023. 7. 20.
반응형

오디오의 기초

오디오의 기초, 오디오의 뜻에 대하여 알아보자.

 

방송 프로그램은 영상과 오디오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영상이 전부인 것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오디오는 영상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각각의 장면에 에너지를 불어넣어 활력을 주고, 프로그램을 짜임새 있게 만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디오의 중요성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이유는 청각적 효과보다는 시각적 효과가 훨씬 앞선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명확한 정보의 전달과 프로그램을 보다 더 짜임새 있게 만드는 것이 오디오의 역할이다.

 

 

 

오디오의 정의

오디오의 정의, 오디오(audio)란 음(音)을 듣는다는 뜻으로 그 어원은 라틴어의 audire(듣다)라는 말에서 비롯되었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소리를 듣고 기록하고 재생하고 조정하기 위한 모든 기기와 이것을 이용하는 기술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즉 사람의 소리, 주변의 각종 효과음, 음반이나 카세트테이프, 방송 등에서 나오는 소리 등을 받아들이고 또 사람이 감지하기 쉽게 재생이나 증폭 등을 할 수 있는 시스템과 그 사용 기술을 통칭하여 오디오라고 한다.

 

오디오는 영상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각각의 자연에 에너지를 불어넣어 활력을 주고, 프로그램을 짜임새 있게 만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디오의 중요성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이유는 청각적 효과보다는 시각적 효과가 훨씬 앞선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명확한 정보의 전달과 프로그램을 보다 더 짜임새 있게 만드는 것이 오디오의 역할이다. 잘 어울리는 배경 음악과 설득력 있는 목소리가 담긴 프로그램은 영상이 다소 어색하거나 어울리지 않아도 그 잘못을 바로 느끼지 못한다. 반대로 구성상 어울리지 않는 배경 음악과 설득력 없는 목소리는 그 프로그램의 영상미가 아무리 돋보여도 사람들은 바로 고개를 돌린다. 이것은 오디오의 정보 전달력이 비디오보다 훨씬 크기 때문이다.

 

오디오 중에서 영상 작품의 배경 음악으로만 사용되는 음악들은 그것 자체만으로도 감동을 느낄 정도의 수준 있는 음악이 많으며, 프로그램의 영상과 조화를 이루어 1차적인 시각적 효과에서 흔들리고 있는 마음을 더욱 흔들어 놓는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경험이 부족한 사람일수록 기획 단계에서부터 영상 위주의 촬영에 집착하고 오디오는 등한시하는 경향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고쳐야 할 습관이다.

 

 

 

소리

소리의 3요소, 속도, 소리의 전달에 대하여 알아보자.

 

(1) 소리의 3요소

소리(sound)란 어떤 물체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밀도 또는 압력의 변화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공기를 통해 우리의 청각을 자극하여 소리로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리라는 것은 귀로 들리는 것을 말하지만, 물리적으로는 공기 중에서의 파동(波動)을 말하는 것이므로 물리적 측면에서 취급할 경우에는 음파(音波, sound wave)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소리의 특성은 소리의 높낮이(sound pitch)와 소리의 세기(sound intensity) 그리고 소리의 색깔(tone quality)로 나눌 수 있다.

 

㉮ 소리의 높낮이

소리의 높낮이(sound pitch)는 소리의 진동수의 차이를 말한다. 이것은 단위 시간에 대한 진동의 주기인 주파수(frequency)가 높은지 낮은지로 나타낸다. 따라서 소리의 높낮이는 곧 주파수의 높고 낮음을 말하며, 진동수가 빠를수록 많은 주기와 높은 소리의 주파수를 만든다. 소리의 주파수 단위는 헤르츠(Hz)로 표시한다.

 

㉯ 소리의 세기

소리의 세기(sound intensity, loud)란 진동에 대한 진폭의 크고 작음을 말한다. 즉, 진폭이 크면 강한 소리이고 진폭이 작으면 약한 소리이다. 소리의 세기의 단위는 데시벨(decibels, dB)로 표시하며, 이는 실용적인 전화기를 발명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는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Alexander Graham Bell, 1847~1922)의 이름에서 붙인 것이다.

 

㉰ 소리의 색깔

소리의 색깔(음색, 音色, timbre, tone quality)은 소리의 높낮이와 세기가 같아도 서로 다른 소리를 구분할 수 있는 특징이다. 음색의 차이는 기본 주파수 외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고조파(高調波) 성분의 함유율이 달라서 이것 때문에 소리가 다르게 들린다. 그러나 음색은 여러 종류의 다양한 소리에 대응하는 청각적인 느낌이라고도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소 주관적인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고조파(高調波, harmonic): 기본 주파수 외에 2배, 3배, 4배 등 정수 배의 진동수를 갖는 정현파(正弦波)를 말한다.

 

(2) 소리의 속도

소리의 속도는 음파를 전하는 공기나 빛 또는 전자파를 전하는 진공 등과 같이 힘이나 파동 등의 물리적 변화를 전하는 매개물인 매질에 따라서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서 소리의 전달 음압(音壓)은 거리에 반비례한다. 즉 음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소리는 작게 들린다. 또한 공기 중에서 소리의 전파 속도는 기온이 높아지면 빨라지고, 낮아지면 느려진다.

 

(3) 소리의 전달

인간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은 공기 압력의 변화로부터 청각 기능에 의하여 느껴질 때 가능하다. 물리적으로 음파는 인간의 귀에 도달하여 귓속에 고막을 진동시킴으로써 음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어떤 음원으로부터 소리를 듣기까지는 회절, 굴절, 반사와 흡음, 공명, 도플러 효과 등의 작용이 발생된다.

반응형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폰(microphones)  (0) 2023.07.22
오디오 픽업  (0) 2023.07.21
조명의 실제  (0) 2023.07.19
조명 연출 기능  (0) 2023.07.18
조명의 기초-2  (0) 2023.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