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의 실제
조명의 실제를 알아 조명을 설계하는 이유를 알고 실제로 사용할 수 있고, 조명의 특징과 시각적 효과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조명은 사실적인 조명과 창조적인 조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실적인 조명은 부자연스럽지 않은 범위에서 빛의 방향, 강약, 색상 등을 변화시켜 피사체의 이미지를 살리기 위한 방법이다. 즉 시간, 기후, 계절, 시대 등을 명확하게 느낄 수 있으나 부자연스러움을 느끼지 않게 하는 것이다.
창조적 조명은 자연의 채광 법칙에서 벗어나 자유분방한 각도에서 임의의 밝기나 색광을 비추어서 보이는 피사체의 형태를 적극적으로 변화시켜 미적 표현을 추구하는 것이다. 배경은 어떠한 색으로 할 것인가, 빛의 모양은 어떻게 할 것인가, 그림자는 어떠한 방향으로 얼마나 길게 할 것인가 등 모든 것을 창조적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조명을 설계할 때에는 물체나 사람의 기본적인 형태를 표현하도록 조명을 배치하고, 그림자의 밝기나 강도를 조절한다. 또 피사체와 배경과의 관계가 잘 나타나도록 하여야 하고, 피사체를 반드시 배경과 분리하도록 하여야 한다. 사진이나 영상 표현에서 조명의 기본은 피사체의 기본적인 형태를 나타내주는 키 라이트(key light), 그림자를 연하게 하고 입체감을 살려주는 필 라이트(fill light), 피사체를 배경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백라이트(back loght)와 이 세 가지의 조명 기구를 모두 사용하는 삼각 조명법(triangle lighting principle)만 알아도 훌륭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1) 조명 방법
㉮ 키 라이트
키 라이트(key light)는 피사체의 정면에서 비추는 조명으로 피사체의 기본적인 형태, 표면의 모양, 질감을 나타내는 기능을 하며 화면 안에 의도된 그림자를 만드는 주광원이다. 키 라이트의 위치와 각도는 주로 물체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ㆍ우로측 상단에 둔다. 폴 오프를 빠르게 하여 짙은 표면 그림자를 만든다.
㉯ 필 라이트
필 라이트(fill light)는 키 라이트에 의한 짙은 표면 그림자를 부드럽게 하고 입체감을 만들어 준다. 필 라이트는 대개 스포트라이트보다는 플러드라이트가 많이 이용되지만 조명은 밝기에 따라 상대적이기 때문에 스포트라이트를 필 라이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필 라이트는 피사체를 기준으로 키 라이트의 반대쪽에 위치시켜 그림자 부분을 비추게 한다.
㉰ 백 라이트
백라이트(back loght)는 물체의 윤곽을 나타내고 배경과 분리시키기 위한 조명으로 주로 피사체의 머리 뒤쪽 상단에 위치한다. 백라이트가 비치어야 할 부분은 지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주로 스포트라이트 계통의 조명을 사용하며 이 조명 기구가 카메라에 잡히거나 그 빛이 직접적으로 카메라에 비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사체의 뒤쪽에 상당히 높이 설치하여야 한다. 백라이트의 밝기는 키 라이트의 밝기와 같아야 할 것처럼 생각되지만 백 라이트의 밝기는 피사체의 반사율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 부가 조명
부가 조명(additional light)은 어두운 배경을 표현해 내기 위해서 이들 배경의 세트와 소품을 비추기 위한 조명이 필요할 때 사용하며 배경 조명(background light) 또는 세트 라이트(set light)라고도 한다. 세트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조명을 사용하며 주의할 점은 배경이 되는 세트의 표면 그림자와 주 피사체와의 그림자의 방향을 일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키 라이트와 같은 방향에서 비춰야 한다.
㉲ 삼각 조명법
삼각 조명법(triangle lighting principle)은 피사체를 입체적으로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세 군데의 방향에서 조명을 비추는 것으로 3점 조명이라고도 한다. 피사체의 기본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키 라이트, 그림자를 연하게 하는 필 라이트, 피사체를 배경과 분리하는 백라이트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필 라이트와 피사체의 각도는 15도~60도, 키 라이트와 피사체는 15도~45도 정도에서 피사체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조절해 가며 사용한다. 이때 필 라이트와 키 라이트의 높이는 피사체의 얼굴보다 15도~45도 정도 높은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기타 조명법
전체를 평균적으로 밝게 하거나 강한 콘트라스트를 부드럽게 하는데 쓰이는 베이스 라이트(base light), 일반적으로 수평이나 배경의 세트에 악센트를 주기 위해 쓰는 터치 라이트(touch light), 세트를 밝게 하기 위해서 쓰이는 세트 라이트(set light), 수평을 조명하는 것으로 통상 고정 설비로 되어 있는 허라이즌탈 라이트(horizontal light), 투영 효과로 뒷면에 영상은 만드는 이펙트 라이트(effect light), 스포트라이트(spot light) 앞에 여러 가지 모양을 오려낸 판을 놓고 그림자를 비추는 고보 라이트(gobo light), 인물의 눈동자를 빛나게 하는 프런트 라이트 아이 라이트(front light eye light), 무대 조명에서와 같이 발밑에서 비추는 약한 조명 풋 라이트(foot light) 등이 있다.
(2) 스튜디오 조명
스튜디오에서 스포트라이트 계통의 라이트는 주로 키 라이트로 사용되며 한정된 부분에만 빛을 향하게 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빛이 퍼져 나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 라이트의 초점을 조절하거나 반 도어를 이용해 빔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3) 야외 조명
스튜디오 조명에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조명 기구들을 사용하게 되지만 야외 촬영의 기본적인 원칙은 현장의 빛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야외 촬영 시에는 현장의 빛에 의존하게 되는 경향이 많으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삼각 조명법에 최대한 가깝게 근접하려고 노력하여야 한다.
(4) 조도 측정
조명 기구를 설치할 때 베이스 라이트가 충분한지, 그리고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콘트라스트 허용치가 40:1을 넘지 않는지를 점검하고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때 각 조명의 밝기를 측정하는 것이 조도계(light meter)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