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의 기초-2
조명의 기초-2, 조명의 기초로 조명의 성질에 대하여 알아보자.
조명의 성질
조명의 성질에서 조명은 주로 빛의 근원이 되는 광원의 성격에 의해서 다르게 표현된다, 광원이 태양광일 경우 시간과 환경의 요소에 따라 빛의 성질과 분위기가 변화하며 그에 따라 공간과 대상물 그리고 인물의 분위기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빛은 비치는 방향에 따라 시각적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며 직사광선과 확산 광에 따라 느낄 수 있는 감정도 차이가 난다.
- 지향성 광: 태양광, 플래시의 불빛이나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등과 같은 빛으로 그 빔이 정확하고 거친 그림자를 만든다. 이 지향성 광은 일정한 부분에만 빛이 비치고 나머지 부분에는 빛이 비치지 않게 할 수 있다.
- 확산광: 전체적인 조명을 할 때 사용된다. 확산광은 조명 기구에서 나오면서 여러 방향으로 퍼져 넓은 부분을 조명하게 된다. 이처럼 확산된 빛은 그 방향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뚜렷한 그림자를 만들지 않고 부드럽고 연한 그림자를 만들게 된다. 그래서 부드럽고 연하면서 전체적인 조명이 필요할 때는 확산광을 사용하게 된다.
빛의 강렬함과 부드러움에 따른 명암의 대비, 그림자의 분포와 방향이 심리적ㆍ시각적으로 미치는 영향, 부분 조명과 전체 조명의 시각적 차이 그리고 빛의 집중 효과 등 다양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관하여 충분한 지식과 이해가 있어야 한다.
(1) 강한 조명
강한 조명(hard light)은 자연광이나 여러 종류의 인공광에 의하여 연출될 수 있으며, 빛이 방출되는 면적이 작으면 작을수록 그 광원은 강해진다. 따라서 거리가 먼 부드러운 광선도 뚜렷한 그림자를 만든다. 강한 광선의 특징은 윤곽이 뚜렷하고 강한 그림자를 만들고, 방향성이 강하며 피사체 표면의 윤곽과 질감을 잘 드러나게 한다. 또한 일정 부위를 집중 조명하는 점 광원으로 광원의 집중도와 거리에 따라 그림자의 윤곽에 변화를 주며, 광원이 가깝거나 피사체 보다 클 때는 분산 효과가 커져 그림자의 윤곽을 오히려 부드럽게 하여 준다. 강한 조명은 스포트라이트(spot light)에 의해 만들어지며 주로 주 조명(key light)으로 사용된다.
(2) 부드러운 조명
부드러운 조명(soft light)은 구름 낀 날의 광선과 같은 조명으로 자연광이나 인공광 그리고 분산된 강한 광선에서 생긴다. 분산이 잘 되어 광선의 그림자가 나타나지 않는 광선을 만들려면 무엇보다 광원의 면적이 넓어야 한다. 넓은 광원에서 나오는 광선은 질감을 억제시키고 그늘진 부분을 더 어둡게 하거나 세밀하게 묘사하며 날카로운 윤곽을 나타나지 않게 한다. 또 대형 광원은 조명을 부드럽게 하면서 동시에 그 빛이 만들어내는 그림자를 다시 감싸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광선의 확산은 광원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필 라이트로 주로 사용된다.
(3) 콘트라스트
콘트라스트(contrast)란 영상의 가장 밝은 부분과 가장 어두운 부분 사이의 명암의 차이를 말한다. 조도계로 콘트라스트를 측정할 수 있으며, 콘트라스트는 대개 비율로 나타낸다. 카메라에서 해결 가능한 일반적인 명암비는 40:1 정도이며, 가장 밝은 부분의 조명과 가장 어두운 부분의 명암차가 40배를 넘게 되면 가장 어두운 부분은 노출이 부족하여 어두운 부분의 미세한 명암의 차이는 똑같이 검은색으로 나타나며 가장 밝은 부분은 노출 과다가 되고 만다.
(4) 그림자
일반적으로 빛에는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도 그림자(shadow)에 대하여는 그다지 민감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그림자를 조절하는 일은 조명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그림자는 표면 그림자와 투영 그림자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 표면 그림자(attached shadow)는 그 물체에 붙어 있어 분리될 수 없는 상태의 그림자로 물체의 기본적인 형태를 알려준다. 영상을 볼 때 표면의 그림자가 전혀 없다면 우리는 그 물체의 표면이 어떤 상태의 질감인지, 어떤 굴곡을 가지고 있는지를 전혀 알 수 없게 된다. 표면 그림자를 통해 거친 질감을 느낄 수 있는 물체도 표면 그림자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가 되면 표면이 깨끗해 보인다. 이러한 효과는 조명을 이용하여야만 가능하다.
- 투영 그림자(cast shadow)는 표면 그림자와 달리 물체의 표면에서 분리되어 있다. 예를 들면 벽면에 어떤 형태의 그림자를 만들고자 한다면 그림자를 만들고 있는 물체를 보이지 않게 하고도 벽에 그림자를 만들 수 있다. 전신주나 가로수의 그림자가 건너편 건물의 벽에 만든 그림자는 투영 그림자의 대표적인 예이다. 투영 그림자를 보면 촬영 당시의 시간과 위치를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5) 폴 오프
폴 오프(fall off)란 밝은 부분에서 그림자 부분으로 변화하는 정도 즉 밝은 부분에서 그림자 부분으로의 상대적인 변화 속도를 말하거나 물체의 밝은 부분과 그림자 부분 사이의 명의 비 즉, 콘트라스트를 의미한다. 밝은 부분에서 짙은 그림자 부분으로의 변화 속도가 극단적으로 빠를 때 '폴 오프'가 빠르다고 하며 '폴 오프'가 느리다는 것은 밝은 부분에서 어두운 부분으로 점진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콘트라스트가 '크다'와 '작다'의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
분의 밝기가 같을 때는 폴 오프가 존재하지 않는다.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명의 실제 (0) | 2023.07.19 |
---|---|
조명 연출 기능 (0) | 2023.07.18 |
조명의 기초-1 (1) | 2023.07.16 |
빛과 눈의 관계 (1) | 2023.07.16 |
촬영 시 일반적 유의사항 (0) | 2023.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