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카메라의 구성 요소: 뷰 파인더와 보조 장비

by 영상이론 2023. 7. 13.
반응형

카메라 뷰파인더 사진

뷰 파인더

뷰 파인더(view finder)란 카메라에 부착된 소형의 모니터를 말한다. 뷰 파인더는 화면을 보며 구도를 결정하고, 초점 조절과 노출 및 컬러를 조정하며, 카메라의 각종 정보를 확인하고, 기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해준다. 또한 촬영한 화면을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가정용 소형 비디오와 대형 스튜디오 카메라를 제외한 대부분의 뷰 파인더는 모노크롬(monochrome), 즉 흑백으로 영상을 보여 준다. 이는 뷰 파인더가 카메라에 부속되는 형태라 소형일 수밖에 없어 이를 확대해서 보게 되는데 이때 조그만 뷰 파인더의 해상력은 컬러 뷰 파인더보다 흑백의 뷰 파인더가 더 우수하고 눈의 피로를 덜어 주기 때문에 대부분의 카메라맨이 흑백 뷰 파인더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보조 장비

보조 장비는 카메라 케이블, 커넥터, 카메라 체인, 스튜디오 페데스탈, 트라이팟과 달리, 스테디 캠 등이 있다.

 

카메라 케이블과 커넥터

방송용의 카메라 케이블(camera cable)은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고, 영상 신호와 인터컴 신호 그리고 CCU와 카메라 사이의 각종 기술적 정보를 전달한다. 이러한 카메라 케이블에는 멀티코어(multicore), 트라이엑스(TRX cable)와 광섬유의 세 종류가 있다. 멀티 코어 케이블은 아날로그나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는 여러 개의 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계 전송 거리가 약 600m이다. 반면에 트라이엑스 케이블은 한계 전송 거리가 약 1500m이고, 광케이블은 약 3000m에 달한다. 그리고 트라이엑스 케이블이나 광케이블은 아날로그 신호나 디지털 신호를 모두 전달할 수 있는 멀티코어 케이블과는 달리 디지털 신호를 다루기에 적합하다. 방송용으로는 각각의 영상 신호를 분리해 전송해 주는 컴포넌트 케이블이 주로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디오용 케이블은 색 신호와 밝기 신호를 구분해 전송하는 Y/C 케이블, BNC 케이블 그리고 색 신호와 밝기 신호를 혼합해 전송해 주는 콤포지트 케이블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커넥터(connector)는 케이블과 케이블, 케이블과 각종 방송 기기 사이를 연결하여 주는 기기로서 각 케이블의 특성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카메라 체인

카메라 체인(camera chain)은 스튜디오 카메라와 관련 장치 일체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카메라 체인은 카메라 헤드(camera head), 카메라 제어 장치(camera control unit, CCU), 동기 신호 발생기(sync generator),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로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 헤드는 렌즈와 촬상 장치가 들어있는 내부 광학 장치와 뷰 파인더를 결합시킨 부분을 말한다. 카메라 제어 장치는 셋업(setup)과 제어의 두 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하며, 셋업(setup)이란 카메라 작동 시의 조정 기능을 말한다. TV 프로그램 제작 과정에서 카메라의 셋업과 영상 제어를 맡고 있는 비디오 오퍼레이터(video operator, VO)가 카메라의 색상과 조리개의 개방 정도 그리고 명암을 조정하여 시청자들이 좋은 영상을 볼 수 있게 하여 준다. 따라서 영상 제작 중 모든 카메라는 상황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하는 조건에 맞게 계속 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정 기능을 카메라 제어 장치가 담당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비디오 엔지니어의 셋업 조정이나 영상 제어 등이 컴퓨터에 입력된 자동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 동기 신호 발생기(syne generator)는 여러 대의 비디오 모니터나 플레이어와 레코더와 같은 여러 가지 장치에 공급되는 비디오 신호의 입력 신호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해 동기(sync)를 맞추기 위한 장비이다.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는 카메라 케이블을 통해서 카메라 헤드에 필요한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ENG카메라나 소형 캠코더와 달리 스튜디오 카메라는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으며, 전원 장치는 CCU에 장치되어 있다.

 

카메라 거치 장비: 스튜디오 페데스탈, 트라이팟과 달리, 스테디 캠

스튜디오 페데스탈(studio Pedestal)은 방송국의 스튜디오 안에서 주로 사용하는 대형의 카메라 거치 장비로 카메라를 스튜디오 내에서 전혀 흔들리지 않고 부드럽고 유연하게 카메라를 상하, 좌우, 어떤 방향으로나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게 해 주며, 방송 중 카메라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또한, 출연진이 보고 읽을 수 있는 화면인 Teleprompter가 설치되어 있고, Remote 기능이 있어 카메라맨이 직접 작동시키지 않아도 부조정실 내에서 자유로 움직일 수 있다. 컴퓨터에 의해 무인으로 작동되기도 하는 로봇 페데스탈 등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 기능은 거의 유사하다. 트라이팟(tripod)은 일반적으로 야외 촬영이나 보도용 ENG 카메라에 주로 사용하는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흔들리지 않고 좌우로 움직이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이동이 쉬운 카메라 받침대를 말한다. 스테디 캠(steadicam)은 핸드 헬드(Handheld) 촬영에서 생기는 화면의 흔들림을 보정해 주는 카메라 보조 장비로 촬영 기사가 직접 입는 조끼(vest)와 카메라에 장착되는 슬레드(sled), 그리고 조끼와 슬레드를 연결하는 암(arm)으로 구성되어 있다. 완전히 장착하면 그 무게가 상당히 무거우며, 빨리 움직이면서 촬영하는 경우 마치 카메라가 날아다니는 듯한 느낌을 극대화하여 역동적인 화면을 만들어 준다. 그리고 비교적 느리게 움직이는 경우 트랙 샷과 달리 샷의 대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집 암과 크레인

그 밖에 발레, 드라마, 뮤지컬, 음악 프로그램과 같은 정교한 영상물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집 암(jip arm)과 크레인(crane), 카메라를 연결시켜 주는 장착 헤드(tilt & head) 등이 있다. 집 암은 카메라를 혼자서 스튜디오 바닥에서 약 3m 높이까지 오르내릴 수 있고,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장비를 말한다. 반면에 크레인은 집 암보다 크기가 훨씬 크며, 카메라맨 외에 크레인을 조작할 사람이 최소한 한 명은 더 있어야 한다. 장착 헤드의 틸트는 카메라 헤드를 위, 아래로 향할 수 있게 하고, 팬은 카메라 헤드를 좌우로 돌릴 수 있게 해 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