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카메라의 조정: 화이트 밸런스와 초점, 줌

by 영상이론 2023. 7. 14.
반응형

카메라 초점 맞추는 사진

카메라의 조정

카메라의 조정에 앞서 카메라는 외부의 이미지를 받아들여 그것을 내부에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게 하거나, 움직이는 영상을 재현할 목적으로 어떤 장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기록되게 하는 기계를 말한다. 실제로 촬영을 하기에 앞서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와 초점(focus) 그리고 줌(zoom)에 대해서 알아야 카메라를 조작할 수 있다.

 

화이트 밸런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형광 전구 밑에서 흰옷이 푸르스름하게 보이는데, 백열 전구 아래에서 붉게 보인다는 것을 느낀 적이 있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색온도의 차이로서 백열전구는 태양광보다 낮은, 형광 전구는 태양광보다 높은 색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는 이러한 현상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다시 말하면, 화이트 밸런스란 빛의 3원색인 RGB를 조정하여 광원의 색온도와는 상관없이 흰색이 화면상에서 정확히 흰색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캠코더는 자동 보정 기능을 가지고 있어 화이트 밸런스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즉, 색을 분리하여 색온도에 따라 분리된 색의 신호를 조절한다. 방송용이나 업무용 카메라는 반자동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가지고 있어 수동으로 확인하고 정확히 조정할 경우 색상 재현력이 캠코더에 비하여 훨씬 뛰어나다. 그러나 이러한 반자동 화이트 밸런스는 실내에서 촬영 중 갑자기 실외로 옮기게 되거나 인공조명의 경우라도 급속히 광원이 바뀌게 되면 광원이 바뀔 때마다 수동으로 조정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촬영 중인 장소의 광원 아래에서는 최상의 색상을 재현해 낼 수 있다. 반자동으로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할 때에는 실제 촬영할 때의 광원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흰 종이나 천 또는 흰 벽 등에 초점을 맞추고 화이트 밸런스 버튼을 눌러 주면 자동적으로 조정이 된다. 우리가 눈으로 보았을 때 감지하지 못한 변화도 카메라는 정확히 감지해 낼 수 있으므로 채광 조건이 달라질 때마다 조정을 해야 한다. 스튜디오 카메라나 EFP 카메라로 촬영할 경우는 이들 카메라가 케이블로 카메라 제어 장치(CCU)나 원격 제어 장치(RCU)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비디오 엔지니어가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게 된다.

 

블랙 밸런스

블랙 밸런스(black balance)는 화면의 어두운 부분 즉, 블랙 부분의 컬러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다. 요즘의 카메라는 조정 스위치를 누르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렌즈의 조리개를 닫아 자동으로 블랙 부분의 밸런스를 맞추어 준다. 블랙 밸런스를 잡아주는 이유는 카메라의 촬상 소자와 전자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들의 동작이 항상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전에 이를 맞추어 주기 위해서 필요하다. 요즈음에는 촬상 소자와 전자 소자들의 발달로 동작이 안정되어 블랙 밸런스의 중요성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촬영 조건이 불안정한 야외 촬영 등의 경우 촬영 전에 조정을 해주는 것이 좋다.

 

초점

초점은 업무용이나 방송용 카메라의 사용자는 촬영할 때마다 렌즈의 초점 조절 링을 돌려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더라도 수동 초점을 채택하여 정확하고 신속하며, 주관적인 초점을 원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소형 캠코더의 경우 초점의 조절이 자동으로 조정되어 수동으로는 조절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소형 캠코더의 경우 대부분 모터에 의해서 작동되는 전동식 초점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동식 초점 조절 기능은 편리하기는 하나 수동식 초점 조절 기능보다 그 속도가 훨씬 느리고 갑작스러운 피사체의 이동이나 조명의 변화에 의해 흐려져 버리는 경우가 있어 다시 초점이 맞을 때까지 촬영이 불가능한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스튜디오 카메라의 경우는 카메라와 케이블로 연결된 트라이팟이나 페데스탈의 핸들에 초점 조절 기능이 있어 핸들로 방향을 이동하며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초점 프리셋

촬영 시 줌 인(zoom in)을 하거나 줌 아웃(zoom out)을 할 경우 초점은 계속 유지되어야 하나 그렇지 못한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줌 아웃을 할 때는 광각 렌즈의 특성상 초점이 맞는 범위인 피사계 심도가 깊어지기 때문에 초점이 정확히 맞지 않아도 시각적으로 표시가 나지 않으나, 줌 인 할 때에는 점점 망원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렌즈의 특성상 피사계 심도가 얕아져 초점이 정확하지 않으면 줌 인 할수록 점점 더 흐려지게 된다. 따라서 촬영 전 미리 줌 인 상태로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어 놓고 실제 촬영 시 줌 아웃에서 줌 인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촬영 전 미리 줌 인 상태로 초점을 정확히 맞춰 놓은 상태를 초점 프리셋(presetting the zoom lens)이라고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