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부터 글에 적을 프로젝트는 영화에서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편집 방법인 "Cutting on the action"이다. 즉, 사람이나 사물의 동작 중간에 편집 포인트를 잡은 후 다음 비디오 클립을 붙이는 것이다. 영상물을 볼 때 사람의 눈은 움직이는 물체에 집중되기 때문에 두 개의 장면을 붙일 때 첫 번째 장면에서 동작이 끝나기 전에 같은 동작의 다른 장면을 붙여야만 자연스러운 편집으로 연결이 된다. 예를 들면, 배우가 문을 열고 앞으로 나오는 전신(Long shot) 장면에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배우가 문을 여는 클로즈업 장면을 같이 연결하면 두 동작은 쉽게 이어지면서 좀 더 빠른 느낌의 장면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 두 개의 장면이 부드럽게 이어지기 위해서는 첫 번째 샷에서 배우가 움직이는 중간에 다음 장면이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여러 클립의 연결 상황에 따라 다른 편집 방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파이널 컷 프로 X에서는 삽입하기, 덧붙이기, 덮어쓰기, 연결하기, 대체하기라는 다섯 가지의 방법으로 클립을 프로젝트에 추가할 수 있다. 대체하기 기능은 파이널 컷 프로 이전 버전의 Replace Edit의 기능과는 완전히 다른 것으로 단순히 클립을 대체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클립의 길이에 맞춰 시작점과 끝점 프레임을 조절해 준다. 이러한 편집 기술들은 스크린 상의 버튼들을 클릭, 키보드의 단축키를 이용, 메뉴 아이템에서 선택, 드래그 앤 드롭을 통해 각기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대체하기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연결하기
클립 연결하기 [단축키: Q]는 파이널 컷 프로 X의 새로운 기능으로, B-roll, 인서트샷, 음향효과 등을 넣을 때 꼭 필요하다. 연결된 클립은 기준 트랙(프라이머리 스토리라인)에 연결되는 클립이고, 연결된 스토리라인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클립들이 뭉쳐서 기준 트랙(프라이머리 스토리라인)에 연결된 뭉쳐진 클립들이다. 연결된 클립들 사이에는 이를 연결한 연결선이 보이는데 마그네틱 타임라인의 장점 중 하나로써, 새로 연결되는 클립과 이미 타임라인 상에 존재하던 클립의 위치 충돌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경우에도 클립들의 위치가 밀리지 않는다. 프라이머리 스토리라인에 있는 클립과 연결된 세로 선들이 프라이머리 스토리라인과 연결된 클립의 관계를 보여준다. 연결점을 새로 지정하려면 연결된 클립 위로 스키머를 가져간 후 Option + command + Click을 해서 프라이머리 스토리라인에 있는 클립과 연결점을 새로 지정할 수 있다.
삽입하기
삽입하기의 인서트 기능은 타임라인의 클립들 사이 플레이 헤드가 위치한 곳으로 집어넣는 작업을 말한다. 만약 플레이 헤드가 두 개의 클립 사이에 있다면 새로운 클립은 이 두 개의 클립 사이로 들어가게 된다. 또 플레이 헤드가 한 클립의 중간에 있다면, 인서트 명령은 클립을 두 개의 파트로 나누고 그 사이로 집어넣는다. 인서트 과정은 항상 프로젝트의 전체 길이를 변경한다. 새로운 클립을 첫 번째와 두 번째 클립 사이에 인서트라는 스텝들을 따라 하며, 인서트 하는 방법을 편집 방식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3포인트 편집 방식 주로 사용한다. 3포인트 편집을 사용하면 스토리라인 또는 이벤트 클립에서 전체 클립이 아닌 정확하게 원하는 구간만큼만 선택을 해서 편집을 할 수 있다. 타임라인의 시작점[I] 그리고 이벤트 브라우저에서 시작점과 끝점, 총 3개의 편집 포인트를 사용해 편집하는 방식이다. 시작점을 표시하지 않으면 스키머 또는 플레이 헤드가 시작점을 대신한다. 인서트를 사용할 경우 클립이 인서트 되면서 오른쪽에 있는 클립들을 새로 들어온 클립의 길이만큼 밀어내며, 어떠한 클립도 지워지지 않는다. [단축키: W]
덧붙이기
덧붙이기는 플레이 헤드와 스키머의 위치와 상관없이 단순히 스토리라인 끝에 클립을 붙여 넣는 기능이다. 프라이머리 스토리라인 끝에 클립을 덧붙이는 것이 기본 설정이지만 그 외의 다른 스토리라인 끝에 새로운 클립을 붙이고 싶으면 그 스토리라인(클립이 모여진 조합)을 먼저 선택한 후 덧붙이기를 하면 된다. [단축키: E]
덮어쓰기
덮어쓰기 [단축키: D]는 선택한 이벤트 브라우저의 클립의 구간 길이만큼 타임라인에 있는 클립을 겹쳐 쓰기 한다. 타임라인에 있는 것과 새로운 클립을 교체하는 것이다. 프로젝트의 끝에 있는 클립을 편집하지 않는 이상 덮어쓰기는 삽입하기와 다르게 프로젝트의 길이를 변경하지 않는다. 타임라인의 클립(들) 위에 덮어쓰기를 하는 것이므로 스토리라인의 전체 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클립이 들어간 자리에 있었던 기존의 클립(부분)들은 지워진다.
클립 활성화와 비활성화
클립을 보이거나 보이지 않게 설정하려면, V를 누르거나 클립을 클릭하고 팝업 창에서 Enable을 선택하면 된다. 클립이 비활성화되면 타임라인에 더 이상 보이지 않고, 렌더링이 되지 않고, 소리가 나지 않으며, 내보내기를 할 수 없다. 클립을 비활성화해도 클립은 여전히 그 자리에 위치해 있지만, 마치 그곳에 없는 것처럼 된다. 보통의 클립들을 사용 가능한 활성화된 클립들이라 부르고 보이지 않게 하거나 사용 가능하지 않게 한 클립을 비활성화 클립이라 부른다. 활성화된 클립은 타임라인 상에서 밝고 선명하게 보이는 반면, 비활성화된 클립은 어둡고 희미하게 보인다.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널 컷 프로 X: 트리밍 (0) | 2023.09.13 |
---|---|
파이널 컷 프로 X: 타임라인에서 빈 공간을 대체하는 갭과 플레이스홀더 (0) | 2023.09.12 |
파이널 컷 프로 X: 마커 (0) | 2023.09.10 |
파이널 컷 프로 X: 여러 가지 클립 재생 방법 (0) | 2023.09.09 |
파이널 컷 프로 X: 플레이 헤드와 스키머 (1) | 2023.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