갭(Gap)과 플레이스홀더(Placeholder)는 가편집 시 필요한 클립이 아직 다 모아지지 않았을 때 대체안으로 잠시 사용될 수 있다. 가편집이란 스크립트에 맞춰 사용할 클립들을 타임라인에 적당히 모은 본편집 전 상태를 말한다.
대체하기
대체하기는 선택된 클립을 프로젝트 타임라인에 이미 위치해 있는 다른 클립과 대체하는 작업이다. 클립 대체하기를 진행할 때에는 대체하기, 시작점부터 대체하기, 끝부분부터 대체하기, 대체하고 오디션을 추가하기 옵션 중 한 가지를 반드시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한다. 클립을 대체하는 작업은 선택의 옵션에 따라 프로젝트의 전체 길이에 변화를 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단축키: Ctrl + D] 주의할 점은 Replace(대체하기)와 Replace from Start(시작점부터 대체하기)의 차이점이다. Replace는 브라우저에서 선택한 클립의 길이가 우선시 되고 Replace from Start는 타임라인에 있는 클립의 길이가 우선시 된다. 예를 들어 3초짜리 클립을 브라우저에서 타임라인에 있는 2초짜리 클립에 가져와 Replace from Start를 하면 타임라인의 클립 길이가 우선시 되기 때문에 브라우저에서 가져온 클립은 2초까지 쓰이게 된다. 타임라인에 있는 편집점들을 변형시키지 않기 위해 편집 시 Replace 보다는 보통 Replace from Start를 자주 사용한다.
클립의 선택된 구간 삭제와 연결된 클립의 구간 삭제
프라이머리 스토리라인에 있는 클립들을 미세하게 트리밍 할 때 어떤 부분을 삭제하거나 클립을 분리하고 또는 그 사이에 어떤 공간을 집어넣어야 할 수도 있다. 파이널 컷 프로는 두 클립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갭을 빈 공간에 넣기도 하고 클립을 지운 후 갭으로 그 부분을 고정시키기도 한다. 연결된 클립의 구간을 삭제하려면 Range 툴 선택 또는 단축키: R을 눌러 타임라인에서 지고 싶은 구간을 선택한 후 Delete키를 누른다. 프라이머리 스토리라인에 있는 클립이 아닌 연결된 클립에서 클립의 구간을 지우면 클립이 두 개로 나눠진다. 프라이머리 스토리라인에 있는 클립 구간을 지우면, 지워진 부분이 자동으로 메꾸어지기 때문에 잘린 두 클립 사이의 갭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Shift + Delete를 사용하면 갭이 남겨지면서 그 구간이 삭제된다.
빈 공간 없이 지우기와 갭을 남기면서 지우기
타임라인에서 시작 있는 클립의 부분을 플레이해 보자. Tools 팝업 메뉴에서 Range Selection을 선택, 또는 단축키: R을 사용해 구간 선택 툴을 사용한다. 마우스를 드래그해서 구간을 지정해 준 후, 키보드의 Delete를 누르면 된다. 선택된 구간을 Delete를 사용해 삭제하면 프로젝트의 길이가 선택된 구간의 길이만큼 줄어든다. 프로젝트에 존재하는 클립을 통째로 지우고 싶다면, 클립 자체를 선택하고 Delete를 누른다. 구간 선택 툴을 사용해 여러 클립에 걸쳐 구간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구간에 해당하는 모든 콘텐츠를 삭제할 수도 있다. 클립에서 선택된 구간을 들어 올려서 그 콘텐츠를 지우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젝트의 길이는 변하지 않고, 갭 클립의 빈 구간을 채우게 된다. [단축키: Shift + Delete] 남겨진 갭을 지우고 싶으면 갭을 선택한 후 다시 일반 지우기[Delete]를 하면 된다.
플레이스홀더
편집 시 나중에 필요한 클립이 들어갈 빈 공간을 표시하는 플레이스홀더는 갭(Gap)과 비슷하지만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따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유용한 툴이다. 갭 클립은 단지 빈 공간의 길이만 채울 뿐 아무런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다. 하지만 플레이스홀더는 인스펙터창에서 설정을 통해 해당 클립이 실내샷인지 실외샷인지, 밤에 찍은 씬인지 낮에 찍은 씬인지, 또는 몇 명의 인물이 해당 씬에 보이는지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인스펙터에서 특정한 노트를 남길 수도 있다. 제너레이터 브라우저에서 드래그해서 가져오거나, 두 개의 클립 사이에 플레이 헤드를 위치시킨 후 메뉴에서 Edit > Insert Generator > Placeholder를 선택하면 플레이스홀더가 인서트 된다. [단축키: Option + command + W] 타임라인에서 플레이스홀더 클립을 선택한 후 인스펙터 창을 열면 플레이스홀더의 내용을 바꿀 수 있다. 인스펙터 창을 열기 전에 타임라인에서 플레이스홀더 클립이 선택되어 노란색 테두리로 활성화가 되어 있어야만 입력한 내용이 뷰어 창에서 바로 프리뷰 된다. 입력 사항을 초기화시키려면 Published Parameters 구간 끝에 마우스를 가져간 후 옵션 팝업 창을 열어 Reset Parameter를 선택하면 입력된 내용이 초기화된다. 제너레이터 인스펙터에서 입력한 다음, View Notes를 체크해서 노트를 만들 수 있게 한다. 인스펙터에서 변경한 모든 항목들은 뷰어에서 보이기 때문에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텍스트 인스펙터의 Text란의 "Enter notes here"라고 쓰인 공간에 노트하고 싶은 내용을 입력한다.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널 컷 프로 X: 트림 툴의 종류 (1) | 2023.09.14 |
---|---|
파이널 컷 프로 X: 트리밍 (0) | 2023.09.13 |
파이널 컷 프로 X: 기본 4가지 편집 스타일 (0) | 2023.09.11 |
파이널 컷 프로 X: 마커 (0) | 2023.09.10 |
파이널 컷 프로 X: 여러 가지 클립 재생 방법 (0) | 202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