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영상 제작 이론

파이널 컷 프로 X: 비디오 애니메이션 에디터

by 영상이론 2023. 10. 10.
반응형

비디오 애니메이션 에디터에서 키프레임 설정하기

비디오 애니메이션 창은 뷰어 창에서 키프레임을 추가할 때, 키프레임이 추가되는 위치를 타임라인에서 보여준다. 타임라인에 있는 클립에는 키프레임이 따로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이 애니메이션 창을 통해 키프레임의 위치와 효과의 강약 정도를 확인하고 조절할 수도 있다. 인스펙터에서 키프레임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제한적이고 충분한 기능을 다 갖추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다른 이펙트들의 파라미터들에 키프레임을 적용했다면, 이 다른 이펙트들에 적용된 다른 키프레임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할 방법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이 키프레임들을 적절히 조정하거나 더 미세하게 수정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이유로 글쓴이는 타임라인에 있는 비디오 애니메이션 에디터에서 주로 키프레임 작업을 한다. 타임라인 클립의 왼쪽 위 코너를 살펴보면 닫힌 삼각형 모양의 작은 아이콘이 있다. 이를 클릭해서 팝업 메뉴를 열 수 있다. 팝업 메뉴는 클립을 다양하게 바꾸어 볼 수 있는 "Show Video Animation" 또는 "Show Audio Animation" 등의 여러 가지 명령들을 포함하고 있다. "Show Video Animation" 명령은 모든 비디오 컨트롤들을 각각 하나의 줄로써 타임라인 클립의 위쪽으로 디스플레이하며 클립을 확장시킨다. 비디오 애니메이션 에디터를 열려면 먼저 타임라인에서 클립을 선택한 후 뷰어 창에 클립이 보이도록 플레이 헤드를 그 클립 위로 놓는다. 팝업 창이 뜨면 "Show Video Animation" 항목을 선택하거나, 단축키 control + V 또는 메인 메뉴의 Clip > Show Video Animation를 통해서 열 수 있다. 비디오 애니메이션 뷰를 이미 열어놓은 경우, "Show Video Animation" 명령은 "비디오 애니메이션 숨기기(Hide Video Animation)" 명령으로 바뀐다.

 

비디오 애니메이션 에디터에서 키프레임 위치 확인하기

비디오 애니메이션 에디터를 연 후 뷰어창 왼쪽 아래 Crop을 눌러 크롭 모드로 바꾼다. 뷰어 창의 키프레임 버튼을 눌러 플레이 헤드가 위치한 곳에 키프레임을 추가한다. 트림 툴을 조절해 이미지를 반 정도만 남도록 트림해 보자. 플레이 헤드의 키프레임 애니메이션을 끝낼 위치로 이동시킨 후 키프레임을 다시 한번 추가하자. 비디오 애니메이션 에디터에서 추가된 키프레임이 보이는지 확인했을 때 트림 섹션이 활성화되어 있어야 한다. 다시 한번 트림 툴을 잡고 이미지를 원래의 크기의 이미지로 늘려주자. 비디오 애니메이션 창에서 키프레임이 된 위치를 확인하며, 클립을 재생해 보면 두 키프레임 사이의 구간에 이미지가 잘라내기 되어 줄어들었다가 다시 늘어나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생긴다. 타임라인에서 트림 섹션에 있는 두 번째 키프레임을 잡아서 왼쪽으로 드래그해 보면 키프레임 사이가 좁아진 만큼, 키프레임 효과는 빨라진다. 편집이 끝났으면 Done 버튼을 눌러 트림 모드를 끝내자.

 

비디오 애니메이션 에디터에서 페이드 인/아웃 만들기

클립을 어두워졌다가 밝아지게 하는 효과인 페이드 인/아웃은 편집에서 자주 쓰이는 기술이다. 이 효과는 인스펙터보다 비디오 애니메이션 에디터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쉽다. 불투명도를 조절해서 페이드 인/아웃을 만드는 방법(합성하기)을 알아보자. 불투명도(Opacity) 칸의 오른쪽에 보이는 열기 버튼을 눌러보자. 이펙트 칸의 아무 곳이나 더블클릭해도 창이 확장되어 열린다. 이 버튼을 클릭하면, Compositing: Opacity 섹션이 열린다. 불투명도 섹션 안에서 마우스 커서를 움직여보면 두 개의 불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아이콘이 클립의 시작 부분과 끝나는 부분의 위쪽에 나타난다. 클립의 앞부분에 보이는 아이콘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가자. 아이콘 위로 마우스 커서를 위치시키면, 아이콘 양쪽으로 작은 삼각형 모양의 아이콘들이 뜬다. 아이콘을 클릭하고 중앙으로 20 프레임 정도 드래그해서 페이드 인을 만들고, 클립의 끝부분에 보이는 아이콘도 중앙으로 20 프레임 정도 드래그해 페이드 아웃을 만들자. 만약 마우스 커서를 그래프의 맨 위에 위치한 얇은 검은색의 수평선 위로 가져가면 위아래를 향하는 화살표가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선을 클릭하고 아래로 드래그하면 클립이 전체적으로 다 불투명해진다. 이 선을 50% 정도로 낮추면 불투명도가 50%로 내려가면서 밑에 있는 이미지와 오버랩되어 보일 것이다. 참고로 투명도/불투명도를 조절하는 선을 0%로 내리면 클립이 완전히 불투명해져 화면이 검게 보인다. 만약 클립에 많은 이펙트들을 적용했을 때 비디오 애니메이션 에디터로 작업할 경우, 비디오 애니메이션 에디터의 높이가 너무 높아져 타임라인 내에 다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솔로(Solo)' 모드를 이용함으로써 이를 깔끔하게 보이게 만들 수 있다. 이펙트의 리스트를 솔로 모드로 깔끔하게 만들려면, 타임라인에서 클립을 선택하고 메인 메뉴의 Clip > Solo Animation을 선택하자 [단축키: Shift + Ctrl + V]. Clip 메뉴에서 'Solo Animation'을 선택하면 이를 끌 때까지 모든 클립의 비디오 애니메이션 에디터는 솔로 애니메이션 모드로 열린다. 에디터를 더블클릭하면 확장된다. 비디오 이펙트의 더미는 없어지고 'Compositing'만 옵션으로 보인다. 이 이펙트의 이름 옆에 보이는 닫힌 삼각형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해 보자. Opacity 글자의 바로 오른쪽에 보이는 열기 버튼을 클릭하면 모든 이펙트들이 리스트 된 팝업 창이 밑으로 열릴 것이다. 이 이펙트들 중 잘라내기(Crop)를 선택해 다시 이전에 편집한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선택된 이펙트가 비디오 애니메이션 에디터에 보이면서 이펙트에 키프레임들이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