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영상 제작 이론

파이널 컷 프로 X: 키프레임 설정하는 방법

by 영상이론 2023. 10. 9.
반응형

키프레임은 비디오 클립에서 어떤 변화가 생기는 지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00% 크기의 클립이 50% 크기로 작아지는 시작 지점을 키프레임으로 표시할 수 있다. 키프레임은 애니메이션 효과, 필터 효과, 사운드 조절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구성요소(파라미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길 원할 때 사용한다. 클립에 모션(스크린을 가로질러 움직이는)을 주거나, 클립의 크기, 모양을 바꾸고 클립을 잘라내기, 왜곡하기가 가능하며, 클립이 스크린에 재생되는 동안 클립을 빙글빙글 돌게 만들 수도 있다. 키프레임은 항상 두 개 이상 있어야 한 키프레임 기준으로 그다음 키프레임까지 변화를 줄 수 있다. 키프레임을 설정하는 방법은 뷰어를 이용하는 방법, 인스펙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뷰어 창에서 키프레임 설정하기

뷰어 창에서 클립의 크기를 줄이는 작업을 키프레임을 이용해서 해보자. 뷰어 창에서 키프레임을 추가하면 이 키프레임 값을 인스펙터 창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타임라인에서 키프레임 설정할 클립을 선택한 후 플레이 헤드를 키프레임을 설정할 프레임 위치에 둔다. 뷰어 창의 왼쪽 아래에 위치한 트랜스폼 버튼을 클릭한 후 왼쪽 위에 보이는 키프레임 버튼을 누르면 키프레임이 추가된다. 이 키프레임은 이 클립의 현재 크기를 기억하는 기준점이 된다. 다음 키프레임에서 변형된 값을 지금의 키프레임값과 비교해서 애니메이션 효과가 일어나게 되며, 오른쪽에 인스펙터 창에서 변화를 볼 수 있다. 변화가 이어질 프레임으로 다시 플레이 헤드를 위치시킨 후 키프레임을 추가한 다음 뷰어 창에 보이는 핸들을 잡고 드래그해 프레임 크기(Scale)를 변경해 보자. 크기를 줄이거나 키우는 동안 뷰어 창의 왼쪽 위에 Scale 크기가 보인다. 키프레임 버튼 왼쪽에 보이는 뒤로 가기 버튼을 눌러 이전 키프레임으로 이동한 다음 클립을 시작점부터 재생해 보자. 이 방법으로 크기뿐 아니라 클립을 이동시키는 애니메이션, 회전 애니메이션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인스펙터를 이용해 키프레임 설정하기

타임라인에서 클립을 선택한 후 키프레임을 설정할 위치로 플레이 헤드를 이동시킨다. 인스펙터 창에서 키프레임을 설정하기 위해서 Scale 파라미터의 "Add a keyframe" 버튼을 눌러준다. 키프레임을 추가한 후에는 키프레임 아이콘이 +에서 -로 바뀐다. 첫 번째 키프레임을 설정할 때, 파라미터 세팅을 변경한 후 키프레임을 추가할 수도 있고, 또는 키프레임 아이콘을 먼저 클릭한 다음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도 있다. 키프레임을 추가하면 타임라인 상 클립의 위쪽에 점선이 나타나면서, 백그라운드 렌더링을 요하는 부분임을 알려준다. 참고로 렌더링 단축키는 Ctrl + R이다. 인스펙터 창에서 프레임의 크기도 바꿀 수 있다. 슬라이더를 변화시킬 비율까지 드래그해 이미지의 크기를 줄이거나, 늘일 수 있다. 크기 슬라이더를 움직이면 오른쪽에 보이는 크기의 값이 이에 따라 변하고, 뷰어 창에 보이는 클립의 사이즈도 변한다. 크기를 조절하는 슬라이더 옆에 보이는 숫자를 클릭해 직접 원하는 값을 타입해 넣을 수도 있다. 다시 변화를 끝마칠 프레임으로 플레이 헤드를 위치시킨 후 키프레임을 추가해 준다. 키프레임이 놓은 프레임에 플레이 헤드가 위치해 있을 때, 마우스 커서를 인스펙터 내의 키프레임 아이콘으로 가져가면 키프레임 아이콘이 화살표 모양의 키프레임 삭제하기 아이콘으로 변한다. 키프레임을 삭제하려면 빨간 X을 클릭하면 된다. 아이콘 양 옆에 보이는 뒤로 가기 혹은 앞으로 가기 화살표를 눌러 이전, 이후에 위치한 키프레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인스펙터 창에서 이미지 크기를 슬라이더로 드래그해 크기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인스펙터의 변형하기 섹션 오른쪽에 보이는 초기화 버튼을 눌러 추가되거나 변경된 모든 사항들이 없어지고 기본 설정으로 되돌릴 수 있다.

 

클립에 키프레임 적용된 효과 복사하기

Paste Attributes 기능을 이용해 클립을 복사하면 그 클립에 적용되어 있는 속성들을 복사해서 다른 클립에 적용할 수 있다. 하나의 클립에서 복사된 여러 가지 효과를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클립들에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아주 편리한 기능이다. 여러 개의 클립들을 같은 크기의 같은 효과와 키프레임까지 한 번에 복사하여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집 시 많이 사용되는 중요한 기능이다. 사용된 속성들을 Remove Attributes를 이용해서 간단히 지울 수도 있다. 키프레임이 적용되어 있는 클립을 선택한 후 메인 메뉴에서 Edit > Copy를 선택한다. [단축키: command + C] 복사된 효과를 적용할 클립을 선택한 후 메뉴에서 Edit > Paste Attributes를 선택한다. [단축키: Shift + command + V] 복사된 효과를 적용할 타깃 클립을 선택하지 않고 단순히 스키머를 그 클립 위에 가져가도 이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 Paste Attributes 창이 열리면 소스 클립과 타깃 클립을 확인한 후 복사할 내용(적용한 키프레임 위치, 회전, 크기 등)을 선택한 다음 Paste를 클릭하면 선택한 모션 효과들이 복사되어 적용된다. 복사되어 적용된 효과는 인스펙터 창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적용된 효과를 지우기 위해서는 메뉴에서 Edit > Remove Attributes를 선택 또는 단축키 Shift + command + X를 누르면 지울 수 있는 창이 뜬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