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시 각종 효과-1
편집 시 각종 효과-1, 아날로그에서의 표준 전자 효과는 일반적으로 스위쳐에 내장되어 있거나 별도의 특수 효과기(special effects generator, SFG)로 만든다. 디지털 방식이 보편화되고 익숙해져 버린 현재는 아날로그 방식의 표준 전자 효과는 더 이상 특별하다고 할 수 없게 되었다. 심지어 가정용의 소형 캠코더에 기능이 내장되어 있을 정도로 일반화되어 있는 상태지만 여전히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효과들이다.
컬러 시대에 맞게 현란한 영상과 화려한 효과 등으로 이루어지는 영상 제작 방법으로 변하고 있는데, 그 변화의 중추 역할을 하는 각종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슈퍼 임포지션
슈퍼 임포지션(super Imposition)은 두 개의 이미지를 동시에 보여주는 방법으로 사진에서의 이중 노출과 유사하다. 보통 줄여서 '슈퍼'라고 부르며 동시에 두 개의 완전한 이미지를 볼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화상의 강도까지도 조정할 수 있으며, 주로 회상하는 장면이나 생각, 꿈 등 내적 장면을 보여 주거나 이미지를 복잡하게 만드는 데 사용된다.
(2) 키
키(key)는 두 개의 비디오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즉, 어떤 영상을 다른 영상 위에 얹는 것으로, 어떤 그림의 특정 부분에 다른 그림의 특정한 부분을 중첩(super impose)시키는 것이다. 배경 화면 위에 다른 화면을 덮어 올리는 화면 합성에 사용한다. 슈퍼 된 이미지를 통해서 바탕 그림을 볼 수 있는 슈퍼(super)와는 달리 키(key)된 이미지는 바탕 화면 부분을 보이지 않게 하고, 그 위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키에는 약간의 기술적 차이로서 일반 키, 매트 키, 크로마키 등으로 구분한다.
㈎ 일반 키
일반 키(normal key)는 배경 영상과 키 소스의 비디오 소스만이 있고, 자막 주위의 모든 어두운 부분을 배경 영상으로 교체함으로써 배경 영상 위에 잘라 낸 것처럼 쓰인다.
㈏ 매트 키
키 작업을 하게 되면 화면 중, 남는 부분과 제거되는 부분이 생기는데 이를 키 홀(key hole)이라 부르며, 이렇게 별도의 키 홀만을 만든 화면을 배경 화면 위에 얹고 키 홀 안에 다른 비디오 화면을 채워 넣는 것을 매트 키(matte key)라고 한다. 매트 키는 다양한 색과 보더(border) 모양으로 채워진 자막을 만들기도 하며, 문자 주위에 테두리, 그림자, 윤곽 등을 만들기도 한다.
㈐ 크로마 키
크로마 키(chroma key)는 색상의 차이를 이용하는 키로, 조정된 임의의 색상을 제거해 필요한 화면 부문을 만들어내는 효과이다. 보통 푸른색 배경에 인물이나 사물을 두고 촬영한 장면에서 푸른 배경색 만을 제거해 남는 부분의 소스를 다른 화면과 합성하여 만드는 것이다.
크로마 키의 대표적인 예로는 기상 지도 앞에서 일기 예보를 하는 기상 캐스터의 경우로, 실제 기상 캐스터는 아무것도 없는 푸른색 배경 앞에서 설명을 하고, 크로마 키로 푸른색 대신 컴퓨터로 만든 기상 지도가 푸른색을 대신하여 배경 화면이 되는 것이다. 실제로 기상 캐스터는 스튜디오 카메라의 텔레 프롬프터의 자막을 보며 설명을 하고, 설명 부위를 가리키는 손 높이는 전체적인 키 효과를 보여주는 모니터를 통해서 확인하게 된다. 키 하는 동안 푸르게 보이는 모든 것이 사라지고 다른 비디오 이미지로 대체되기 때문에 푸른색 계통의 어떤 옷도 입을 수 없다.
이외에도 크로마 키는 다양한 배경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푸른색 배경 위에서 촬영한 화면의 배경을 어떠한 것으로도 대체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크로마 키는 푸른색을 주로 이용하지만 녹색이나 다른 색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푸른색이나 녹색을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사람을 촬영할 때 피부색이나 머리색에 비교적 이런 색이 드물기 때문이다.
㈑ 루미넌스 키
비디오 신호의 휘도 부분을 나타내는 신호를 휘도 신호(luminance signal)라 하는데, 이는 신(scene)을 흑백의 밝기만으로 표현하는 영상 신호이다.
특정한 색상이나 혹은 특정한 색상을 제외한 영역을 합성하는 것을 크로마키라고 하고, 특정 수준 이상이나 이하의 휘도를 가진 신호를 합성하는 것을 루미넌스 키(luminance signal)라고 한다.
루미넌스 키는 명도, 즉 밝고 어두운 정도에 따라 값을 이용한 키이고 크로마키는 색을 이용한 키이다.
(3) 와이프
와이프(wipe)는 화면의 일부를 지우면서 새로운 장면을 보여주는 장면 전환 효과로서, 하나의 완전한 비디오 이미지가 새로운 이미지에 의해 처음의 이미지를 화면 밖으로 밀어내듯이 점차적으로 다른 것으로 바뀌는 것이다.
와이프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스위쳐의 버튼 위에 그림으로 표시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개 내지 세 개의 효과를 동시에 겹쳐서 사용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수직 와이프와 수평 와이프이며 수평 와이프의 경우, 두 번째 이미지가 옆에서부터 바탕 화면을 밀어내듯이 장면이 바뀐다.
분할 화면은 수평 내지는 수직 와이프가 중간에 멈춘 것이다. 분할 화면은 아날로그 와이프보다는 분할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기 쉽게 하는 디지털 효과로 만들어진다. 와이프는 쉽게 할 수 있어 남발되기 쉬우나 시각적으로 효과가 크고 분명한 전환 방법이어서 성격과 분위기에 맞게 절제해 가며 사용해야 한다.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집 시 유의사항 (0) | 2023.08.03 |
---|---|
편집 시 각종 효과-2 (0) | 2023.08.02 |
편집의 실제_기법 (0) | 2023.07.31 |
편집의 실제_원칙 (0) | 2023.07.30 |
포스트 프로덕션 편집 (0) | 2023.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