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의 분류
지향성에 따라 마이크로폰을 분류하고 그 특성과 종류에 대하여 알아보자.
(1) 소리의 지향성에 따른 분류
㉮ 무지향성 마이크
모든 방향에서 똑같은 감도로 음을 받아들이는 것을 무지향성 마이크(omni directional/omni microphone)라고 한다. 그러나 일부 무지향성 마이크는 지향 축으로부터 정반대의 방향 입사각은 약간 감쇠가 된다. 어떤 지향 특성의 마이크보다 음질이 뛰어나기 때문에 확성이 필요 없는 프로그램의 인터뷰용이나 분위기를 중시하는 스포츠나 라이브 등에서 사용된다.
㉯ 단일 지향성 마이크
지향 축 방향에서 감도가 높고, 지향 축을 벗아날수록 감도가 낮아지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한 방향으로만 즉, 마이크의 전면에서 오는 소리만 잘 받아들이는 것을 단일 지향성 마이크(uni-directional microphone) 또는 카디오이드 마이크(cardioid microphone)라 한다. 대부분의 마이크가 단일 지향성이며, 정면축의 감도가 가장 좋은 특성을 가진다.
지향 특성이 더욱 예민한 것으로는 고지향성(hyper/super cardioid microphone) 마이크가 있으며, 숏 건(shot gun)이라 불리는 초지향성 마이크도 있다. 이러한 마이크는 대담 프로그램 등에서 사용된다.
㉰ 양 지향성 마이크
양지향성 마이크(bi-directional microphone)는 지향 축과 그 반대 축 양쪽 모두가 감도가 높고, 옆쪽은 감도가 낮은 8자 모양의 패턴을 갖는 마이크를 말하며, 쌍지향성 또는 선후 지향성 마이크라고도 한다.
이런 종류의 마이크는 대개 2~4개의 마이크 캡슐로 구성되어 여러 종류의 지향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시로 지향 특성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두 사람이 서로 마주 보고 대화하거나 노래하는 장면 등의 녹화에 사용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등, 음악 프로그램에 주로 사용된다.
㉱ 반원 지향성 마이크
반원 지향성 마이크(hemisphere/boundary layer)는 무지향성을 반으로 자른 것과 같은 지향 특성 가지는 마이크를 말하며, 바닥에 놓고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것이 많다.
연설이나 회의 시 테이블에 놓고 사용하거나 무대 공연의 중계 또는 프로그램의 분위기 고조를 위하여 객석의 효과음을 받아들이는데 사용된다.
(2) 소리를 만들어 내는 장치에 의한 분류
마이크는 모두 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주며, 이 신호가 증폭되어 스피커에 의해서 다시 음파로 변환된다. 이처럼 마이크의 소리를 만들어내는 장치에 따라 다이내믹, 콘덴서, 리본 마이크로 구분한다.
㉮ 다이내믹 마이크
다이내믹 마이크(dynamic microphone)는 원통 자석 주위에 코일을 설치하고, 이 코일로 진동판을 움직여 진동판의 떨림에 따라 전후로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소리를 만들어내는 마이크이다. 이것은 소리를 박진감 있게 재생하며, 기상에 관계없이 야외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튼튼하여, 마이크에 손상을 주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 콘덴서 마이크
콘덴서 마이크(condenser microphone)는 음파가 진동판을 자극하면 둘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을 전기 신호로 전환시켜, 소리를 만들어내는 마이크이다. 콘덴서 마이크는 고음질의 재생 능력을 갖고 있으나, 다이내믹 마이크보다는 물리적 충격과 온도의 변화에 민감하다. 또한 마이크의 사운드를 증폭시키기 위하여 전원 공급 장치를 필요로 하여 실용적이지 못하다.
㉰ 리본 마이크
리본 마이크(ribbon microphone)의 구조는 다이내믹 마이크와 매우 유사하지만 원통 자석 주위에 코일 대신에 작은 리본을 사용하기 때문에 리본 마이크 또는 벨로시티 마이크라고 한다. 리본 마이크는 고음질의 녹음이 가능하고, 부드럽고 따뜻하며, 풍부한 소리를 재생하는데 뛰어나 가수나 아나운서 또는 악기 등의 소리를 재생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물리적 충격에 약하고, 극한적인 온도 변화에 민감하고, 지나치게 큰 원음에 근접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3) 운용 방법에 따른 분류
마이크를 실제적인 운용 방법에 따라 이동형 음원을 받아들이기 위한 것과 정지형 음원을 받아들이기 위한 마이크로 구분할 수 있다.
㉮ 이동형 마이크
- 라벨리에 마이크(lavaliere microphone): 아주 작고 튼튼한 다이내믹 혹은 콘덴서 타입의 전 지향성 마이크로서 라브 마이크라고도 한다.
- 핸드 마이크(hand microphone): 출연자가 손에 들고 사용하는 마이크를 말하는 것으로 출연자가 어느 정도의 사운드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 건 마이크(gun microphone): 드라마 장면처럼 제작 시에 마이크가 카메라에 잡혀서는 되지 않는 경우 아주 멀리서 나는 소리도 가까이에서 나는 소리처럼 픽업되어야 하고 주변에서 나는 잡음을 없애 줄 마이크가 필요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마이크가 건 마이크다.
- 무선 마이크(wireless microphone): 마이크 케이블이 없이 마이크 신호를 받을 수 있게 만들어진 마이크이다. 이것은 신호 송신기와 수신기, 그리고 마이크가 하나의 무선 시스템을 구성하여야 사용될 수 있다.
- 헤드셋 마이크(headset microphone): 이어폰에 부착된 무지향성이나 단일 지향성의 고음질의 소형 마이크를 말하며, 이어폰 한쪽으로는 헤드셋 마이크가 픽업하는 소리나 방송국에서 보내주는 프로그램 오디오가 들리고 다른 한쪽은 제작 요원의 지시 사항이 들린다. 주로 사건, 상황을 전달하는 스포츠 캐스터와 출연자들이 많이 사용한다.
㉯ 고정형 마이크
- 데스크 마이크(desk microphone): 책상 위에 놓고 사용하는 마이크를 말하며 음성의 픽업에만 사용된다. 퀴즈 프로그램, 공청회나 연설 또는 기자 회견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데스크 마이크는 튼튼하고 물리적 충격에 강해야 하며, 보통 다이내믹 마이크나 무지향성 마이크가 주로 사용된다.
- 스탠드 마이크(stand microphone): 세워서 사용하는 마이크를 말하며 음원이 고정되어 있고 프로그램의 형태상 음악 연주회처럼 마이크가 드러나도 관계없는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스탠드 마이크는 스탠드에 끼워 놓는 다이내믹 마이크에서부터 주로 음악 녹음 시 사용하는 감도가 아주 좋은 콘덴서 마이크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 행잉 마이크(hanging microphone): 케이블을 이용하여 거의 정지되어 있는 음원 위쪽에 고품질의 카디오이드나 라발리에 마이크 등을 매달아서 사용하는 마이크를 말한다. 이러한 행잉 마이크는 각 대사마다 배우의 정확한 위치가 정해져 있는 드라마 제작에 많이 사용된다.
- 히든 마이크(hidden microphone): 카메라가 촬영하는 화면에 보이면 안 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마이크를 말한다. 보통 작은 라발리에 마이크를 꽃술 속이나 테이블 장식 뒤 또는 대화를 픽업하기 위해 차 안 등에 감추어서 사용한다.
- 원거리 마이크(long distance microphone): 스포츠 방송에서 생생함을 전달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마이크로서 경기가 주로 이루어지는 쪽을 향하여 하이퍼 카디오이드형이나 초지향성의 건 마이크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디오 조정(audio control) (0) | 2023.07.25 |
---|---|
마이크의 배치와 오디오의 저장 (0) | 2023.07.24 |
마이크로폰(microphones) (0) | 2023.07.22 |
오디오 픽업 (0) | 2023.07.21 |
오디오의 기초 (0) | 2023.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