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포맷
비디오 포맷 중 영상 편집에서 많이 사용되는 기본적인 비디오 포맷에 대해 알아보자.
인터레이스드 모드 비디오에 사용되는 필드 레이트는 프레임 레이트의 2배이며, 모든 인터레이스드 방식의 프레임은 2개의 필드로 이루어져 있다. 60개의 필드는 30개의 프레임을 의미하고, 방송에서는 30개의 프레임이 29.97 프레임 레이트로 표시된다. 다음에서 사용되는 숫자 60은 NTSC 필드 레이트인 59.94를 의미한다.
많이 사용되는 비디오 포맷
많이 사용되는 비디오 포맷에 대하여 알아보자.
테이프 기반 카메라의 포맷
테이프 기반 카메라의 포맷은 최근에 레코딩 미디어 포맷의 미약적인 발전에 의해 거의 사용되지 않으나 참고로 알아두자.
- DV NTSC [SD 포맷]
디지털 컴포넌트 비디오와 디지털 오디오를 6mm(1/4인치) 폭의 테이프에 4:1:1 방식으로 압축하여 기록하는 비디오 방식이다. DV NTSC 형식을 사용하는 카메라는 Sony PD170, Panasonic AG-DVX100, Canon XL2 등이 있다.
- HDV [HD 포맷]
6mm 미니 DV 테이프에 HD인 영상과 영상을 기록 재생하는 방식이다. 영상 압축은 MPEG-2 형식을 따르며, 15 프레임을 하나로 묶어서 압축하는 GOP 방식을 사용한다.
- DVCPRO HD
DVCPRO HD는 DVCPRO100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4:2:2 색 샘플링을 사용하여 영상을 기록한다. 4:2:2 비압축 방식의 색 샘플링을 사용하여 각각의 화소가 XDCAM이나 HDV 포맷의 화소보다 더욱 우수하다.
파일 기반 카메라의 포맷
파일 기반 카메라의 포맷은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디오 포맷이다.
- XDCAM
2003년에 소니가 개발한 비디오 시스템으로 테이프가 아닌 디스크에 녹화되는 형식을 의미한다. 처음 두 세대, XDCAM과 XDCAM HD는 프로페셔널 디스크(PFD)를 기록 매체로 사용하고, 3세대 XCDCAM EX는 솔리드 스테이드 SxS 카드를 사용한다. HDV 방식과 비슷한 MPEG2 방식과 GOP(Group of Pictures)을 사용한다. XDCAM 형식을 사용하는 카메라는 SONY PDW-F355, SONY PDW-F800, SONY XDCAM EX1, PMW-EX3 등이 있다.
- H.264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디오 포맷으로 H.264/MPEG-4 압축 방식을 사용한다. Canon 5D 또는 7D, Nikon D7000, 아이폰 또는 아이패드가 이 포맷을 이용해 비디오를 촬영한다. 높은 압축률로 파일 사이즈는 작지만, 화질은 여전히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편집이 끝난 동영상 역시 이 코덱을 이용해서 웹용 비디오를 만든다.
- AVCHD [Advanced Video Codec High Definition]
AVCHD 포맷은 Sony와 Panasonic에 의해서 개발된 고압축 방식이다. 이 포맷은 최근 많은 소비자와 전문가용 비디오카메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압축을 풀어서 편집을 해야 했던 이 포맷이 최근 지원되는 많은 플러그인과 빠른 컴퓨터의 속도로 인해 실시간으로 편집이 가능한 포맷으로 바뀌었다. AVCHD 포맷을 사용하는 카메라로 소니 HXR-NXCAM, Panasonic AG-HMC150 등이 있다.
- Motion JPEG
Motion JPEG 또는 Photo JPEG 포맷은 가장 오래된 비디오 압축 포맷 중의 하나이지만 여전히 많은 카메라에서 사용되고 있다. H.264 포맷이 출시된 이후로 전문가용 카메라에는 더 이상 많이 사용되지 않지만, 아직도 아마추어용의 디지털카메라에서는 많이 사용된다. Panasonic UMIX DMC-GF1이 이 포맷을 사용한다.
- XAVC와 XAVC S
Sony에서 개발한 XAVC 코덱은 4K와 HD, 프록시를 모두 포함하는 가장 최신 비디오 포맷이다. XAVC 포맷은 프로페셔널 사용자들을 위한 MXF 파일 래퍼와 일반 컨슈머 용자들을 위한 XAVC S 즉 MP4 방식의 압축 방식 비디오 코덱을 제공한다. 파이널 컷 프로에서 제공되는 Pro Video Formats 파일을 자동 업데이트하면 다른 소프트웨어의 지원 없이 네이티브 포맷으로 편집할 수 있다.
비디오 포맷별 용량과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
비디오 포맷별 용량과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 디지털 비디오 파일은 다른 미디어 파일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용량이 매우 크다. 요즘 많이 사용하는 Canon 7D의 촬영 포맷인 H.264의 경우 1초에 5MB의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며 1시간에 약 18GB의 공간을 차지한다. 이런 고용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읽어야 하는 비디오 편집에서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른 하드 드라이브가 필요하다.
편집 시에 자주 발생하는 드롭 프레임(dropped frame) 에러는 비디오 파일이 저장된 하드 드라이브가 그 비디오 파일을 읽고 재생하기에 충분하게 빠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압축된 HD CAM 비디오 파일은 초당 평균 2037MB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요구하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외장용 하드 드라이브(USB, FireWire)의 속도로는 충분한 재생 속도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비디오 클립을 재생할 수가 없다.
컴퓨터와 하드 드라이브를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따라서도 데이터 전송 속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USB 연결 방식부터 고가의 광섬유(Fiber Optic) 방식 등의 연결 방식이 사용된다.
보통 하드 드라이브 화사에서 표시하는 데이터 레이트와 실제 사용에서 나타나는 데이터 레이트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실험실에서 계산된 수치보다는 실제적인 사용치를 바탕으로 하드드라이브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집 워크플로우 (0) | 2023.08.11 |
---|---|
4K 카메라와 파이널 컷에서의 워크플로우 (0) | 2023.08.10 |
인터레이스드 이미지(Interlaced Image)와 프로그레시브 이미지(Progressive Images) (0) | 2023.08.08 |
비디오에 관한 일반적인 이해 (0) | 2023.08.04 |
편집 시 유의사항 (0) | 2023.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