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인터레이스드 이미지(Interlaced Image)와 프로그레시브 이미지(Progressive Images)

by 영상이론 2023. 8. 8.
반응형

인터레이스드 이미지(Interlaced Image)와 프로그레시브 이미지(Progressive Images)

인터레이스드 이미지(Interlaced Image)와 프로그레시브 이미지(Progressive Images)에 대하여 알아보자.

 

 

 

비디오 해상도를 설명할 때나 방송 방식을 표시하는 사양을 보면 1080i 또는 720p와 같이 숫자 뒤에 i 또는 p가 붙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i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를 의미하며 p는 프로그레시브 이미지(Progressive)를 의미한다. 숫자 1080과 720은 해상도의 가로선 개수를 뜻한다.

 

하나의 프레임은 두 개의 필드, 즉 TV의 홀수선(upper)과 짝수선(lower)으로 이뤄져 있다. 프로그레시브는 한 장의 완성된 그림이란 뜻이고, 인터레이스드는 두 개의 필드(field)가 교차되어 보이는 반쪽짜리 그림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인터레이스드된 TV의 30 프레임은 실제로는 반쪽짜리 60 프레임으로 보이며, 완성된 한 프레임은 두 개의 필드로 구성되는 것이다.

 

△ 인터레이스드(Interlaced)의 이미지: 완성된 한 프레임은 두 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의 이미지: 프로그레시브 비디오 시그널은 한 장의 완성된 그림이 연속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인터레이스드 방식보다 더 많은 영상 정보를 가진다.

 

인터레이스드 비디오는 반쪽짜리 프레임인 2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2 필드가 번갈아가면서 캡처된다. 단점으로는 빨리 움직이는 화면을 정지된 이미지로 만들 경우, 2개의 필드(주사선)가 불완전하게 합쳐지면서 프로그레시브 형식인 컴퓨터 화면에서는 물결무늬(Line Twitter) 현상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2개의 필드가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인터레이스드 이미지와는 달리, 한 번에 전체 비디오 프레임을 캡처하는 프로그레시브 방식은 인터레이스드 방식에 비해 더 좋은 화질의 영상을 구현하고 텍스트나 스틸 이미지를 이 방식으로 사용할 경우 훨씬 부드럽고 깨끗한 결과를 만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인터레이스드는 점차 프로그레시브 형식으로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다. 요즘 출시되는 컴퓨터와 LCD 모니터 및 TV는 모두 프로그레시브 출력 방식을 채택하여 매 프레임당 모든 가로선을 보여준다. 그리고 인터넷상에서 Youtube 또는 Vimeo 등에서 다운로드되는 비디오는 모두 프로그레시브 형식으로 압축되어 실행된다. 아이폰,  아이패드 등의 애플 기기와 이동식 비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역시 모두 프로그레시브 형식이다.

 

※ 주의사항: 인터레이스드 비디오로 최종 편집을 마무리해야 할 때 주의사항

한국의 방송 시그널은 1080i60이 대부분이다. 프로그레시브 형식으로 작업한 프로젝트는 이 방송 규격으로 다시 변환시켜줘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비디오 편집이 프로그레시브 모드 화면인 컴퓨터 모니터를 보면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실제 방송 출력 방식인 인터레이스드(1080 i60) 영상을 정확히 표현하기 위해서는 TV용 모니터를 사용해서 방송될 영상물을 확인해야 한다.

 

가끔 프로그레시브 모니터로 인터레이스드 비디오를 출력할 경우 가로 해상도가 줄어들거나 잔상(Motion Artifact)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녹화된 영상을 슬로 모션으로 재생할 때 쉽게 발생한다. 인터레이스드 비디오는 꼭 TV 모니터로 확인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자.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이란 반쪽짜리 그림인 필드 2개를 합쳐서 한 장의 완성된 그림인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인터레이스드 모드로 촬영된 잔상이 많은 영상물을 편집 프로그램에서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필터를 사용해 프로그레시브 모드 영상으로 바꾸는 작업을 최근 들어 많이 하고 있다. 하지만 두 개의 필드 중 하나를 삭제할 경우 해상도가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해 영상의 질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대의 개념인 인터레이싱(interlacing)은 프로그레시브 모드 영상을 인터레이스드 모드로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화면비율

화면 비율(Aspect Ratio)이란 모든 비디오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녹화되는데 이 직사각형 이미지의 가로, 세로의 비율을 뜻한다. 1950년대 대부분의 영화에서 사용된 4:3 화면 비율로 인해, 당시 텔레비전이 개발될 때 텔레비전의 카메라 렌즈는 4:3 형식이 되었고 표준 텔레비전 방송의 화면 비율도 자연스럽게 같은 4:3 비율이 되었다. 모든 HD 비디오는 16:9 화면 비율 방식을 사용해서 이미지를 캡처하고, 예전의 SD 비디오는 16:9와 4:3의 화면 비율이 함께 사용되었다.

반응형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4K 카메라와 파이널 컷에서의 워크플로우  (0) 2023.08.10
비디오 포맷  (0) 2023.08.09
비디오에 관한 일반적인 이해  (0) 2023.08.04
편집 시 유의사항  (0) 2023.08.03
편집 시 각종 효과-2  (0) 2023.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