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영상 제작 이론

화면 구성의 원칙-1

by 영상이론 2023. 7. 15.
반응형

화면 구성의 원칙-1

화면의 구성 원칙-1, 좋은 화면의 구성 원칙은 좋은 프로그램을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좋은 화면 구성의 원칙(composition)이란 화면에 보이는 내용들은 서로 조화가 잘 이루어져야 하고, 선과 모양, 색깔과 빛 등 관련이 있는 것들이 어울릴 수 있도록 다양성이 유지되면서도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수직선과 수평선, 대각선과의 평형, 여백, 피사체 사이의 거리 및 위치, 색깔의 평형 등 화면 전체가 종합적으로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하나하나의 장면 묘사가 아무리 잘 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장면들은 연속성을 갖추고 하나의 흐름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음악에 맞춰 줌 인, 줌 아웃 또는 달리 인, 달리 아웃을 하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촬영된 화면은 화면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의 중요한 부분에 관심을 집중시키려면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여 강조하기도 한다.

 

피사체의 위치와 구도

피사체의 위치와 구도 중 TV 화면은 영화에 비하여 크기가 작기 때문에 주제를 부각하기 쉬운 타이트한 샷이 많으며, 상대적으로 카메라를 움직이는 샷이 적어 일반적으로 회화나 사진의 구도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회화나 사진에서는 일반적으로 중앙에 인물을 배치시키지 않으나 TV 화면에서는 그 인물을 직접 강조하거나 안정감 있게 보여주기 위해 중앙에 배치하는 경우도 많다.

 

(1) 비대칭 화면 분할

서있는 사람이나 전봇대, 가로등과 같이 화면을 수직으로 분할을 할 수 있는 피사체가 포함된 화면에서는 그 피사체를 화면의 중앙이 아닌 좌, 우로 배치시켜야 눈길을 끌고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비대칭 화면 분할이라고 한다. 이 방법은 고대 이후로 화가들에 의해 많이 사용되었던 황금 분할의 법칙을 이용할 수 있다.

화면 비율이 4:3인 TV 화면에서는 가로와 세로를 각각 3등분 하는 선을 그어 그 선들이 만나는 교차점에 피사체를 배치하는 3등분 법칙이 미적 안정감과 관심을 집중시키는 효과를 준다. TV에서 많이 사용되는 투 샷이나 오버 더 숄더 샷을 구성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 황금 분할: 선분을 한 점에 의하여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그 한쪽의 제곱을 나머지와 전체와의 곱과 같아지게 분할하는 것으로서 이 배분의 비율을 황금비 또는 황금률이라고 부르며 그 비율은 1:1.618이다. 고대 그리스 유크리트 기하학의 명제로서 발견되었으며 가장 조화가 잡힌 비로소 이와 같이 이름하게 된 것이다. 흔히 쓰이는 35mm 필름, 엽서, TV의 4:3의 화면 비율 등이 이것을 응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비디오 영상에서는 오버 숄더 샷이 황금 비율에 근접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을 구성할 때에 화면을 가로, 세로로 각각 3 분할한 다음, 이 4개의 선이 서로 만나 교차를 이루는 점이 4개 생긴다. 이 교차점 위에 주제와 부제를 배치하면 안정되고 균형이 잡힌 화면을 얻을 수 있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건축ㆍ조각ㆍ회화ㆍ공예 등, 조형 예술의 분야에서는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2) 삼각 구도

삼각 구도는 화면 전체의 안정감을 원하거나 주제에 대하여 관심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 여기서 삼각이란 반드시 정삼각형이나 피라미드 형태의 삼각형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의해 삼각형이 이루어질 만한 위치에 각각의 피사체와 소품을 배치하면 안정감이 있어 보인다.

 

(3) 대각선 구도

화면을 구성하고 있는 피사체들은 전봇대나 서있는 사람처럼 수직적인 선이나, 신 벤치와 같이 수평적인 선으로 구성되지만 좀 더 흥미롭고 다채로운 표현을 원한다면 대각선 구도를 만드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대각선은 독특한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선은 하강하는 느낌을 아래에서 위로 뻗은 선은 상승하는 느낌을 가지게 한다. 또한 대단히 활달하고 역동적인 느낌을 가지게 한다.

 

(4) 곡선 구도

역동적이고 활달한 느낌을 주는 직선 구도에 비해 곡선은 부드럽고 우아하며 포용적이고 온화한 느낌을 주는 지극히 여성적인 구도라 할 수 있다. 또한 직선 구도가 도시적이고 남성적이며 강직한 느낌을 주는데 비해 여상적이고 우아하며 낭만적인 그리고 안정적인 느낌을 주는 구도라 할 수 있겠다.

 

(5) 원 구도

단순한 주제를 부각할 때 화면 중앙에 위치시키는 초보적인 구도이며 인물의 경우 강하고 자신감이 넘치는 느낌을 갖게 하며 풍경이나 건축물 촬영에서는 주제를 강조하기 위해 많이 이용되는 구도이다.

 

(6) 수직ㆍ수평 구도

주로 건축물에서 조형미를 강조하고 싶을 때 선택하는 구도이며 화면을 강렬한 수직선과 수평선으로 분할해 주는 이 구도는 화면을 단순화시키고 상승감이나 진행감을 느끼게 하는 역동적인 기능을 한다.

반응형

'방송 영상 제작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촬영 시 일반적 유의사항  (0) 2023.07.16
화면 구성의 원칙-2  (0) 2023.07.15
촬영의 방법  (0) 2023.07.15
샷(Shot)의 분류  (0) 2023.07.14
촬영의 기본 이해하기  (0) 2023.07.14